반응형

은현리 적석총(銀峴里 積石塚, 울산 울주군 웅촌면 은현리 산 207-5번지)은 돌무지무덤(積石塚)으로 은현리 서리마을의 남쪽 야산에 있다. 이곳은 정족산(해발 748m)에서 동북쪽으로 발달한 보골봉의 끝자락에 해당하는데, 적석총이 있는 지점은 경사가 10˚ 이내로 완만한 곳에 축조되어 있다.
적석총(積石塚)은 시신을 묻기 위해 구덩이를 파거나 땅 위에 시신을 놓은 다음 돌을 쌓아서 만든 무덤을 말한다. 총(塚)은 발굴된 무덤의 출토 유물로 미루어 볼 때, 피장자가 누구인지를 알 수가 없어 묘라고 부르기는 곤란한 무덤을 말한다.

은현리 적석총(銀峴里 積石塚)은 사람머리 크기의 자연석으로 쌓아 만든 무덤으로 붕괴로 말미암아 확실한 구조는 알 수 없다. 남아있는 적석총의 규모는 전체길이 약 20m내외, 높이 6m 정도로 추정된다. 적석총의 석재는 대부분이 자연석으로 큰 것은 65×60×20㎝, 중간 것은 55×40×23㎝, 작은 것은 23×14×7㎝ 정도로 다양하며, 무덤의 전체모습은 원형이다.
적석총의 최하단 기단부의 형태, 함몰되어 있는 적석의 상태 및 높이 등으로 미루어보면 원래는 위쪽으로 오를수록 좁은 형태를 이루는 피라미드형으로 추정된다.

원래 기단부에는 계단으로 쌓은 흔적이 남아 있으나 현재는 확인하기 어렵다. 마을 주민들에 의하면 인근 저수지 축조 시 적석총의 돌을 사용했다 한다. 적석총에서 약 3m정도 떨어진 주변에는 돌담을 쌓아 묘역을 구분하고 있어 마을 사람들은 마고할미가 쌓은 당이라 하여 해당울, 성산이라 부르고 있다.

적석총에서 약 3m정도 떨어진 주변에는 돌담을 쌓아 묘역을 구분하고 있어 마을 사람들은 마고할미가 쌓은 당이라 하여 해당울, 성산이라 부르고 있다.

적석총(積石塚)은 우리나라에서는 삼한시대 초기에 확인되는데, 이때의 적석총은 대부분 한반도 중부와 북부 지방에 분포한다. 삼국시대가 되면 고구려에서 적석총을 많이 만들었는데, 처음에는 강돌을 사용하여 무질서하게 쌓아 올렸지만, 점차 다듬은 돌을 계단처럼 쌓아 올려 웅장하게 만들었다. 백제에서도 적석총을 만들었는데, 백제의 적석총은 첫 수도였던 한강 유역에서만 확인된다.
웅촌면(熊村面)에 있는 은현리 적석총(銀峴里 積石塚)은 검단리 유적지, 대대리 유적지와 더불어 삼한시대의 우시산국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울산지역의 최초 국가인 우시산국이 이 지역으로 은현리 적석총(銀峴里 積石塚)의 존재는 강력한 지배층이 있었음을 알 수가 있다. 우시산국은 신라 탈해이사금 때 멸망하기 전까지 반 독립성을 유지한 소국이였다.

은현리 적석총(銀峴里 積石塚)의 피장자는 과연 누구일까?
은현리 적석총은 아직 발굴 조사가 진행되지 않아 구체적인 구조와 연대 등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여러 가지 추론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고구려인의 무덤으로 우신산국의 지배층이 고구려계통이라는 것이다. 고구려인이 남하하여 이곳에 정착한 것으로 보는 견해다.
또 하나의 추론은 우시산국은 소국 형태의 가야국으로 경남 산청군에 있는 전 구형왕릉(가락국 제10대 구형왕의 돌무덤)과 비슷한 구조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탑으로 보는 견해인데 안동 석탑리 방단형 적석탑(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43호)과 비슷한 구조라는 것이다.

은현리(銀峴里)는 은하(銀下)의 은(銀)과 덕현(德峴)의 현(峴)을 따서 만든 이름이다. ‘은하(銀下)’의 순우리말은 ‘은알’로, 음달의 아화(雅化)로 빚어진 말이다.
은현리(銀峴里)는 웅촌면의 서쪽에 위치하여 북쪽은 삼동면 출강리, 작동리와 지경을 이룬다. 동쪽은 대복리와 검단리, 남쪽은 고연리와 접한다. 정족산에서 동쪽으로 뻗은 능선이 보골산에서 골짜기를 만들고, 은현리의 뒤산 능선을 따라 한 맥이 남진한 것이 운암산이다.

은현리의 들판은 매우 넓고 저수지가 많아 비옥하다. 서남쪽에는 무제치늪이 있으며 수반저수지, 담뒤저수지, 상보저수지, 덕산저수지 등의 저수지가 있고 곡천천이 여러 갈래로 흐르고 있다.
웅촌면(熊村面)은 진산(鎭山)인 운암산(雲岩山)의 모양이 곰과 닮아서 ‘웅촌’이라 이름하였다고 이해하여 왔다. 그러나 곰을 신성시하는 원시 신앙을 가졌던 예맥족(濊貊族)의 주처에는 곰의 터라 하여 ‘웅(熊)’ 자가 붙는데, 이로 미루어 웅촌은 고마족이 세운 우시산국(于尸山國)의 왕읍(王邑)이 있었던 곳이라 이름 한 지명으로 보인다.

은현리 서리마을의 은현리적석총 안내표지판
안내표지판을 따라 가는 길에 만난 공사현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