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왕의 화장터로 알려진 능지탑지(陵旨塔址)는 낭산(狼山) 서쪽 기슭(경주시 배반동 621번지 일대)에 있고 절터 이름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능지탑(陵旨塔)은 ‘능시탑’으로 구전되어 왔으며, 조선시대 편찬된 『동경잡기(東京雜記)』에 ‘능지’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인근 마을 이름은 ‘능말’, ‘능지’라고 부르고 있는데 능지탑(陵旨塔)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일제강점기 때인 1930년대 말 조선고적연구회 명의의 보고서에 따르면 낭산 배반동 능지탑터를 화장지 유적 가능성을 언급하였고 1969년부터 1979년 11년간의 삼산오악학술조사단 능지탑(陵旨塔) 발굴 조사 때, 유구 중심부 지하에서 땅이 까맣고 불에 탄 흔적 발견하여 『삼국유사(三國遺事)』「문무왕(文武王)」 ‘고문외정(庫門外庭)’의 기록을 근거로 문무대왕의 화장터로 추정하고 있다.
삼산오악조사단이 발굴조사를 실시했을 때, 탑의 북쪽에서 건물지와 석등지가 확인되었으며, 수막새, 암막새, 치미, 귀면와, 전, 석제불상과 토기편, 자기편 등 통일신라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이 출토되었다.
또한 능지탑(陵旨塔) 주변이 있는 경주 배반동 일대를 마을주민들은 ‘고문뜰’로 부르고 있었다. 능지탑(陵旨塔)과 문무왕의화장터에 대한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현재 능지탑(陵旨塔)은 1978년 10월부터 보수공사를 시작하여 1979년 11월 25일에 공사 완료한 모습이다. 통일신라 당시 신문왕 때 부왕의 화장터를 기념, 보존하기 위해 십이지신상을 배치한 능지탑이 세워진 것이다. 능지탑은 다른 이름으로 연화탑(蓮華塔)이라고 불렀는데 상부 옥개부분에 복련의 연꽃 조각한 돌 장식을 하였기 때문이다.
능지탑(陵旨塔)은 현재 전체높이가 4.49m이며, 2층으로 복원·정비되어 있는데 이중기단에 기단부와 탑신부로 구분할 수 있다. 기단부 4면에는 9기의 십이지상이 있는데, 사상(뱀), 인상(호랑이), 진상(용)은 없다.
탑의 탑신부는 전탑과 같은 형태로 다듬지 않은 장방형의 석재로 쌓아올렸다. 그 위에 옥개에 해당하는 연화문석조물을 올렸는데, 이러한 석조물은 크게 두 종류로 구분된다. 정방형의 판석에 4개의 복판의 연꽃잎을 새긴 것과 장방형의 판석 한 면에 복판연꽃잎을 표현한 것 이다.
발굴 조사 시 100여 매의 연화문석조물을 확인하였는데, 현재 1층에는 61매, 2층에는 18매로 복원되어있다. 탑의 북쪽에 토담이 형성되어있으며, 그 앞에는 나머지 복원되지 않은 연화형석조물과 장대석이 모아져있다. 이는 원형과 다르게 복원되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기단부에 배치된 십이지신상 중 자상(쥐)은 머리는 우측을 향해 있으며, 문복을 착의하였고 낮은 귀와 함께 이빨을 나타내었고, 왼손은 칼을 쥐었으며 오른손은 도포자락 속에 감추어져 있는데 인상으로 판단된다. 판석의 크기는 길이 109.0㎝, 너비 67.5㎝이다.
자상(쥐)을 제외한 나머지 상들은 무관복을 입고 있으며, 크기는 길이 100.0㎝. 너비는 70.0㎝ 내외이다. 머리의 방향은 오상(말), 술상(개)는 정면, 자상(쥐), 축상(소), 묘상(토끼), 신상(원숭이)는 우측, 양, 닭, 돼지는 좌측을 향하고 있다
자상(쥐)의 우측에 위치된 축상(소)은 머리의 방향이 우향으로 무관복을 입었고 보주를 잡고 있다. 판석의 크기는 길이95.0㎝, 너비 69.0㎝이다.
묘상(토끼)은 도끼를 잡고 있고 오상(말)은 화염보주와 칼을 잡고 있다.
미상(양)은 낫 형태의 모(矛)를 잡고 있고 신상(원숭이)은 두 손으로 창으로 가슴을 가로지르며 잡고 있다. 유상(닭)은 칼을 잡고 있다.
그리고 술상(개)은 짧은 귀에 도끼를 잡고 있으나 자상(쥐)으로, 해상(돼지)은 접혀 있는 귀와 이빨을 보면 술상(개)으로 판단된다.
낭산(狼山)에서 출토 된 석조약사불좌상(국립경주박물관)은 높이는 약 128.5㎝로 광배, 불신, 그리고 대좌가 한돌(一石)로 조성되었다. 왼손에는 큰 보주형의 약기를 들고 오른손은 무릎 아래로 내려 촉지인을 한다. 얼굴은 살이 통통하게 올라있는데, 세부표현은 마모가 심해 잘 확인되지 않는다.
어깨와 팔, 다리에는 두꺼운 옷 주름이 동일한 간격으로 표현되어있다. 주형광배에는 양각선으로 두광과 신광을 따로 구분하였고, 그 내부에는 꽃무늬 장식과 불꽃무늬장식을 표현하였다. 대좌는 연화대좌로 상대석만 남아있다. 대좌의 연잎장식은 복엽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연잎 안에는 꽃문양장식이 세밀하게 조각되어있다. 이 불상은 왼손에 약기를 들고 있어서 약사불로 판단되며 약사신앙이 유행하던 9세기에 조성한 상으로 추정된다.
현재 복원 된 능지탑에 조성 된 십이지신상은 능지탑 축조와 관련 된 것이 아니며 주변 훼손 된 능에서 옮겨 진 것을 조합하여 복원하였다. 자세히 십이지신상을 살펴보면 크기가 차이가 있고 양식도 다름을 알 수가 있다. 특히 자상(쥐)은 황복사 동편 왕릉 추정지에서 가져 온 것으로 인상(호랑이)이 자상(쥐)으로 바꿔졌다.
능지탑(陵旨塔)은 낭산(狼山) 서록에 있는 사찰로 그동안 문무대왕의 화장지로 추정된 장소로 유명하다. 그러나 사찰과 관련하여 문헌기록이 남아있지 않으며, 유적의 성격과 창건 및 폐사 등의 사찰의 연혁과 사명을 알 수 없는 유적이다. 이에 체계적인 조사를 통해 원형 복원이 필요하다.
1970년 발굴 조사 때, 소조여래좌상의 파편 등이 발견되어 창건 때에는 사면에 흙으로 만든 큰 불상을 봉안한 감실과 같은 목조건축물이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옛 향기를 찾아서 > 석조건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자를 쓴 지장보살이 새겨져 있는 낭산 마애삼존상 (狼山 磨崖三尊像) (4) | 2025.07.05 |
---|---|
기예(技藝)에 통달한 양지(良志) 스님이 주석(駐錫)한 석장사지(錫杖寺址) (2) | 2025.06.29 |
밀교 비법으로 당 수군을 물리친 호국 사찰 사천왕사지(四天王寺址) (2) | 2025.02.23 |
유일하게 연화문이 새겨져 있는 보문동 북사지 당간지주(普門洞 北寺址 幢竿支柱) (0) | 2024.12.22 |
사천왕사, 망덕사지 가람배치와 유사한 보문동 사지(普門洞 寺址) (6) | 2024.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