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찰에 의례, 행사가 열릴 때 깃발을 달아 알리는데, 깃발을 당(), 깃대를 당간(幢竿), 긴 당간이 흔들리지 않게 지탱해주는 지지대를 당간지주幢竿支柱)라 한다. 일반적으로 사찰의 입구에 세워진다.

분황사 당간지주(芬皇寺 幢竿支柱)는 분황사 입구 남쪽 50m지점에 세워져 있다. 황룡사지 당간지주(幢竿支柱)는 입구 쪽에 파손되었지만 당간지주가 있어 현재 분황사 가람의 규모가 상당히 축소된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분황사 당간지주(芬皇寺 幢竿支柱)로 판단된다.

양 기둥에는 상··3곳에 지름 15cm의 구멍[杆孔]이 있고, 두 기둥 사이에 당간을 견고하게 받치기 위한 당간받침돌(간대석 : 竿臺石)이 남아 있는데, 귀부형 간대석으로 거북 모양을 새겨 독특하다.

귀부형 간대석 상면에는 사각형 좌대를 마련하여 앞뒤로 연화문을 장식하였다. 그리고 좌대 한가운데에는 작은 사각형을 오목하게 시공하였으며, 한쪽 방향으로는 물이 빠져나가도록 좁게 낙수 홈이 시설되어 있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당간 하부의 평면 형태는 사각형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귀부형 간대석에서 귀두의 방향은 당간지주의 방향과 함께 사찰로의 진입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

신라와 고려시대의 당간과 당간지주에서 다양한 유형의 간대석이 마련되는데,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처럼 귀부형 간대석을 구비한 경우는 유일하다.

당간지주의 전체적인 형태는 평면 사각 석주형인데, 상부로 올라가면서 조금씩 좁아지도록 하였다. 당간지주의 바깥 면은 지면에서 148cm 정도 되는 높이까지 1단 높게 하였으며, 바깥면의 좌우 측 모서리를 4cm 정도의 너비로 모죽임 하였다.

또한 당간지주의 정상부는 안쪽 면에서 바깥 면으로 나가면서 부드럽게 호형을 하였다. 당간은 당간지주의 안쪽 면에서 바깥 면으로 관통하는 원형 간공(지름 15cm)을 상중하 3곳에 마련하여 간을 끼워 고정하도록 하였다.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는 경주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요 사찰의 당간지주와 비교하였을 때 비교적 이른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귀부형 간대석을 한 것은 유일하다.

분황사 당간지주(芬皇寺 幢竿支柱)에서 본 분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