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령은 의병의 고장으로 곽재우 장군이 태어났고 장군을 기리는 유적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충익사(忠翼祀)와 현고수(懸鼓樹), 정암나루 그리고 생가이다. 충익사는 곽재우 장군과 7장령의 위패를 모신 곳이고 현고수는 임진왜란 때 곽재우 장군이 큰북을 매달아 치면서 전국 최초로 의병(義兵)을 모았다는 느티나무이다. 그리고 정암나루는 임진왜란 때 곽재우 장군이 대승을 거둔 곳이다.

망우당(忘憂堂) 곽재우 장군과 17장령의 위패를 모신 충익사(忠翼祀)

남해 고속도로 군북 IC에서 내려 10분 가량 달리면 남강을 만난다. 이 남강을 건너면 의령군 하리이고 정암나루와 의령관문을 통과하여 의령천을 따라가면 맞이하는 것이 충익사다. 먼저 의령천 둔치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의병교를 건너면 양쪽 기둥을 세워 둥근 고리로 층층이 쌓은 의병탑이 푸른 숲을 뚫고 그 위용을 자랑한다. 매년 의병제 개최 시 의병교와 의병탑을 화려한 오색불꽃으로 장식한다.

양쪽 기둥을 세워 둥근 고리로 층층이 쌓은 의병탑. 매년 의병제 개최 시 의병교와 의병탑을 화려한 오색불꽃으로 장식한다.

충익사는 임진왜란 때 최초로 의병을 일으켜 나라를 지켰던 망우당 곽재우 홍의장군과 17장령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충익사는 19781222일에 준공하였고 충익(忠翼)은 숙종이 곽재우 장군에게 내린 시호로서, 은 나라에 충절을 다하고 은 생각이 깊고 멀다는 뜻이다.

충익사 충의문

충익사 충의각(忠義閣,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22)곽재우 장군과 장군 17의 이름, 본관, , 벼슬 등이 적힌 명판을 보관한 곳이다. 원래 이 건물은 1910년도 합천 이씨 문중에서 의령읍 동동리의 관찰사를 지낸 이중하를 기리는 비석을 보호하기 위해 세운 것을 1972년 재부산향우회에서 이를 매입하여 이곳으로 옮겨왔다. 앞면 2칸 옆면 1칸 다포양식의 팔작지붕으로 공포의 높이가 매우 높고 화려하며 지붕면적도 넓다. 극락세계에 가기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상여모양을 본떠 지은 건물이다. 충의각은 어느 한 곳에도 쇠못을 치지 않은 우리나라 전통 목조건물의 건축양식으로 지어졌다.

충의각(忠義閣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 522 호)은 극락세계에 가기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상여모양을 본떠 지은 건물이다 .
충의각은  곽재우 장군과 장군  17 의 이름 ,  본관 ,  호 ,  벼슬 등이 적힌 명판을 보관한 곳이다

모과나무(경상남도 기념물 제83) 높이 12m, 밑둘레 4m, 가슴높이 둘레 3.1m로 수령은 약 500년 정도로 추정되며, 이는 지금까지 조사된 모과나무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모과나무는 원래 가례면 수성마을을 지켜주고 보호하던 당산나무로 토속신앙의 대상이었으나 1978년에 충익사로 옮겨졌다.

모과나무 ( 경상남도 기념물 제 83 호 )
주목나무로 박정히 전 대통령이 기념식수(1978.12.22)한 나무다.

유곡면 세간리 현고수(懸鼓樹, 천연기념물 제493)

세간리 현고수는 유곡면 세간마을 앞에 위치하고 있는 느티나무로, 나이는 55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15m, 둘레는 7m이다. 이 느티나무가 현고수(懸鼓樹)라고 불리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연유가 있다.

조선(朝鮮) 선조(宣祖) 25(1592) 413일 왜적이 부산포로 침입하자 당시 41세의 유생이었던 곽재우가 422일 이곳 유곡면 세간리 이 느티나무에 큰 북을 매달아 치면서 전국 최초로 의병(義兵)을 모아 훈련을 시켰다고 하여 이때부터 현고수로 불렸다고 한다.

세간리 현고수(懸鼓樹, 천연기념물 제493호)

망우당 곽재우 생가와 세간리 은행나무(천연기념물 제302)

곽재우 생가와 세간리 은행나무

망우당 곽재우 생가는 2005년에 복원한 것으로 조선 초기 건축양식으로 안채, 사랑채, 별당, 큰 곳간, 작은 곳간, 대문, 문간채등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양반가의 집이다. 1592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9일째 되는 날 이곳 곽재우 생가가 있는 마을에서 곽재우장군을 비롯한 17장령들과 함께 책과 붓을 던지고 가재를 던지고 의병을 일으켰다.

망우당 곽재우 생가는  조선초기 건축양식으로 2005 년에 복원함

곽재우(郭再祐)[1552~1617]는 본관은 현풍(玄風). 자는 계수(季綏), 호는 망우당(忘憂堂). 시호(諡號)는 충익(忠翼)이다. 아버지는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낸 곽월(郭越), 어머니는 목사(牧使)를 지낸 강응두(姜應斗)의 딸 진주 강씨(晉州姜氏)와 참봉(參奉)을 지낸 허경(許瓊)의 딸 김해 허씨(金海許氏)인데, 곽재우는 진주 강씨의 소생이다. 곽재우의 부인은 만호(萬戶)를 지낸 김행(金行)의 딸 정부인 상산 김씨(商山金氏)이다.

곽재우(郭再祐)1552(명종 7) 경상도 의령현(宜寧縣) 세간리(世干里)에서 출생하였는데 세간리는 곽재우의 외가가 있는 곳으로, 원래 곽재우의 선대는 경상도 현풍현 솔례리(率禮里, 지금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대리)에 세거해 왔다. 곽재우는 어려서부터 기량과 식견이 뛰어났으며, 독서를 즐겼다고 한다. 1569(명종 22) 의령현 세간리에 집을 짓고 살기 시작했는데, 공부를 하다 여가가 생기면 활쏘기와 말타기를 하거나 병서(兵書)를 익혔다. 1574(선조 7) 의주 목사(義州牧使)로 부임한 아버지 곽월을 따라 2년 간 배행하였으며, 1578(선조 11)에는 동지사(冬至使)로 임명된 아버지와 함께 명나라에 다녀왔는데, 그곳에서 관상 보는 사람이 곽재우를 보고 반드시 훌륭한 사람이 되어 천하에 이름을 떨칠 것이라 하였다.

사랑채

1586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묘소가 위치한 신당동(新堂洞, 지금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대암리)에서 여묘 살이를 하였다. 1589년 상사(喪事)가 끝난 뒤에는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의령현의 기강(岐江) 돈지(遯池)[지금의 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마산리]에 정자를 짓고 한평생을 보낼 계획을 세웠다.

안채

1592(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즉시 사재를 털어 장사들을 모집한 뒤 의병을 일으켰다. 곽재우는 스스로 천강홍의장군(天降紅衣將軍)’이라 이름 짓고 위엄을 보이었다. 곽재우는 우선 의령현의 신번현(新繁縣)[지금의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일대]을 왜적으로부터 지켰으며, 이후 연전연승하였다. 곽재우는 처음 의병을 일으켰을 때 군사가 적었으므로, 매복전을 통해 왜적을 물리치니, 이들이 곽재우를 비장군(飛將軍)이라 불렀다. 특히 곽재우는 1592년에 정암진(鼎巖津) 전투와 제1차 진주성(晉州城) 전투에서 승리하여, 전라도를 수호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1617년 세상을 떠났는데, 묘소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대암리에 있다.

곳간채

세간리 은행나무는 수령 600년 정도로 추정하고 있으며, 높이 24.5m, 둘레 9.1m이다. 마을의 동편 의병장 곽재우 생가 앞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을을 지켜주는 신성한 나무로 믿어지고 있다. 특히 남쪽가지에서 자란 두 개의 짧은 가지(돌기)가 여인의 젖꼭지 같이 생겼다고 해서 젖이 나오지 않는 산모들이 찾아와 정성들여 빌면 효력을 받는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세간리 은행나무 ( 천연기념물 제 302 호 )

반응형
반응형

금련산((金蓮山, 415m) 마하사골에 위치한 마하사(摩訶寺)는 부산 최초의 사찰이다. 1965~1970년 대대적인 중창불사 중 대웅전 건물에서 "상량문" 이 발견되었는데, 그 상량문에서 마하사를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창건했다는 기록이 있어 창건시기를 신라 내물왕대로 추정하고 있다. 마하사의 마하(Maha)는 산스크리트로서 그 뜻은 "훌륭한" "존귀한" "위대한"이란 뜻으로 글자 그대로 "훌륭한 사찰"이란 뜻이다.

마하사 초입의 나무터널

아도화상(阿道和尙)이 누구인가?

아도화상 또는 묵호자는 삼국유사, 삼국사기, 해동고승전에 따르면 고구려 사람으로 아버지 아굴마, 어머니 고도녕 사이에서 태어났고 5세 때 출가하여 16세에 위나라로 갔다가 19세에 돌아왔다. 신라 미추왕 2(263)때 부터 불교 전파에 노력하였고 눌지왕 2(418) 일선현(현재 선산)에 모례의 집에 머물면서 신라 최초의 사찰 도리사를 창건하였다. 그리고 신라 법흥왕이 불교를 공인하기 된 계기를 만든 인물이 아도화상이다.

그리고 마하사의 터가 금학이 알을 품는 금학포란(金鶴包卵)의 형세에 자리 잡고 있어 따뜻한 기운이 넘치는 명당자리이다오래전 금련산에는 마하사, 반야암, 바라밀다사(波羅密多寺) 등 세 개의 사찰이 있었는데 지금은 마하사만 남아 있고, 반야암과 바라밀다사는 마하사 입구의 맞은편 언덕에 사찰 터의 흔적으로만 남아 있다.

마하사 약수터
중생들의 간절한 소원성취를 위한 곳인가?

옛날부터 마하사의 십육나한이 영험하기로 유명하다. 그래서 지역의 신도들이 많이 찾아와서 소원성취를 위해 기도하고 있다. 그리고 나한전의 16나한의 불상이나 탱화를 자세히 살펴보면 인간적이고 해학적이며 소탈한 모습을 띄고 있다. 불씨를 구해 준 나한과 동지 팥죽, 참새를 쫓아낸 나한등 관련 설화를 보면 팥죽이 먹고 싶어서 황령산의 봉화대를 찾아 갔다는 것이나, 나한전의 불사를 하지 않자 종소리를 바꾸어 버린 것 등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 주어 웃음과 함께 친근함을 느끼게 한다.

인간적이고 소탈한 모습의 부처님
2층 누(樓) 건물양식에 천왕문과 범종각
좁은 산세 지형을 최대한 활용한 건물이다.

또한 수영팔경(水營八景) 중 하나인 연산모종(蓮山暮鐘)’이라 하여 마하사에서 해질녘에 울려 퍼지는 은은한 범종소리로 금련산 마하사골을 해탈 향기로 그윽하게 한다고 한다. 그래서 일까? 초입에서 맞이하는 범종각의 청정한 종소리를 듣고 싶은 마음이다.

마하사 창건 내력을 보면 임진왜란 때 봉수대를 지키는 호국불교 사찰이기에 건물이 모두 불탔고, 18~19세기 단계적으로 사찰의 모습을 갖추었다. 1717(숙종 43) 초암(草庵) 형태의 대웅전과 나한전을 짓고 신도 박성우(朴聖祐)가 시주하여 16나한상을 조성하였다. 1729(영조 5) 승려 각찬이 주도하여 나한전을 중건하였다. 1773(영조 49) 승려 진우(震祐)와 쾌일(快一)이 나한전을 다시 중건하였다. 1791(정조 15) 승려 채정(采定)이 대웅전을 중건하였다. 1841(순조 14) 대방, 즉 마하대복연을 중건하였다. 1860(철종 11) 대웅전과 요사를 중건하였다. 1876(고종 13) 요사와 식당을 중건하였다.

마하사의 터가 금학이 알을 품는 금학포란(金鶴包卵)의 형세에 자리 잡고 있어 따뜻한 기운이 넘치는 명당자리이다.

1965년부터 1970년 사이 승려 문성이 대웅전·응진전·대방·요사·식당을 중건하였다. 1983년 승려 지환이 응진전을 중건하였고, 1984~1985년 승려 지연이 종각을 세우고 반야암을 중창하였다. 1987년 승려 지정이 설법전을 보수하였고, 대방을 지장전으로 개축하였다. 1995~1998년 승려 경민이 대웅전과 삼성각을 중건하여 현재의 마하사 모습을 갖추었다.

대웅전은 정면 5,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이다. 안에는 2000년에 조성한 금동 아미타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고, 후불탱과 목각 지장탱, 목각 신중탱이 있다. 오른쪽에는 조선 후기 제작한 목조 여래 삼존 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창호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솟을살 살대에 십장생 살대를 꾸며 놓은 살문구조다. 대웅전에 보기 힘든 특이한 구조로 보는 재미가 솔솔한 창호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의 대웅전
대웅전 공포의 고풍스러운 맛은 크지 않다.
창호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솟을살 살대에 십장생 살대를 꾸며 놓은 살문구조로 대웅전에 보기 힘든 특이한 구조로 보는 재미가 솔솔한 창호다 .
십장생 중 학과 소나무
십장생 중 학과 사슴, 소나무

나한전은 정면 3,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18세기 건물을 최근 중창하였다. 안에는 18세기 조성한 목조 석가여래 좌상을 중심으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좌우 협시하고 있다. 또 불단 좌우에 16나한상과 나한도는 석조로 목조 석가여래 좌상과 같은 시기 작품이다.

정면  3 칸 ,  측면  2 칸의 팔작지붕의 나한전
옛날부터 마하사의 십육나한이 영험하기로 유명하여 지역의 신도들이 많이 찾아와서 소원성취를 위해 기도하고 있다

 대웅전 맞은편 대방(大房)은 일명 마하대복연(摩訶大福緣), 지장전으로 근래에 다시 고쳤다. 대방(大房)은 스님들의 수행, 식사, 회의 등이 열리는 곳으로 현재 마하대복연, 지장전 현판이 각각 걸려있다. 맨 좌측에는 지대방 현판이 걸려있는데 사찰의 큰 방에 딸린 작은 방을 칭하는 것으로 본 건물에 시멘트로 추가적으로 만든 것 같다.

지대방은 본래 스님들의 휴게실로 스님들의 신변잡기, 종단 소식 등을 주고받는 장소로 주로 별도의 방이 없는 스님, 갓 출가한 행자나 사미들이 주된 이용자다. 어원은 벽에 지댈 수 있는 방에서 유래했으며 현재는 창고로 쓰이는 것 같다.

지대방, 마하대복연 ( 摩訶大福緣 ),  지장전

십육나한의 설화, 불씨를 구해 준 나한과 동지 팥죽」과 참새를 쫓아낸 나한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 어느 해 동짓날 밤에 마하사의 불씨가 모두 꺼져 버려 팥죽을 쑤지 못했다. 다음날 아침 주지가 절 부엌에 가 보니 화덕에 불이 켜져 있어 놀라는데, 그때 황령산의 봉화꾼이 와서 하는 말이 어젯밤 이 절의 상좌 아이가 불을 얻으러 왔기에 불을 주고 팥죽을 먹여 보냈다고 했다. 주지는 그리한 일이 없기에 이상하게 여기고 팥죽을 쑤어 나한전에 올라갔는데 십육나한 중 오른쪽 세 번째 나한의 입술에 팥죽이 묻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 뒤 소문이 나 민가에서 찾아오는 신도들이 많아졌다.

어느 해에는 절 마당에 참새가 많이 찾아와 절에 피해가 크자 나한전에 빌었더니 참새 한 마리가 죽어 떨어지고, 그 후로 다시는 참새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또 어느 해에는 불사를 거행하는데 돈이 부족하여 나한전의 불사를 행하지 않고 불사 종료 회향식을 올리려고 했다. 이때 범종을 치는데 종소리가 나무 소리로 바뀌어 신도들이 깜짝 놀라 나한전에 나가 내일 나한전 불사를 거행하겠다고 하니 종소리가 원래대로 돌아왔다.

16나한 설화의 영향인지 전반적으로 부처님 상이 정겹고 친밀감이 느겨진다.

반응형
반응형

기장 앵림산(鶯林山, 491m) 기슭에 위치한 안적사(安寂寺)는 신라 시대인 661(문무왕 원년) 원효(元曉)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초창에 관한 문헌 자료는 전하지 않으나 해운대구 반송동 운봉 부락 뒤편에 있었던 운봉사(雲峰寺)가 연원이라는 이야기도 전한다. 운봉사는 석탑 옥개석을 비롯해서 기와·토기·청자 파편 등이 발견되어 신라 말 고려 초의 사찰로 추정된다. 운봉사가 임진왜란으로 폐사되자 현재 지역으로 옮겨와 안적사가 되었다고 한다.

주차장에서 계단따라 올라가면 맞이하는 원통문

1592(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전소된 이후 범어사(梵魚寺) 묘전 화상(妙全和尙)이 중건하였다. 1873년에는 대웅전, 수선실 등을 경허(慶虛), 해령(海嶺)이 중수하였으나 광복 후 거의 폐사되고 소실되었다. 1973년부터 남곡덕명(南谷德明)이 대웅전, 삼성각, 수선실, 요사채, 종무소 등을 다시 지어 지금의 가람 배치를 갖추었다.

일주문

현재 안적사 경내에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삼성각, 설현당, 보림원 등 10동의 건물이 있다. 대웅전은 정면 3, 측면 3칸의 다포식 팔작지붕 건물로 1990년 무렵 지어졌으며, 아미타여래 좌상과 관음보살·대세지보살이 모셔져 있다그리고 대웅전 에는 아미타여래가 서방 극락세계에서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아미타극락회상도(阿彌陀極樂會上圖)가 있는데 1874년에 제작 된 탱화로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0호이다. 보통 극락전의 본존불인 아미타여래의 후불탱화나 감로 탱화 등의 상단탱화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천왕문
천왕문에서 바라 본 일주문
천왕문 겸 반야문 사방벽면에는 12지상이 벽화로 꾸며져있다.
공포가 아름다운 종각

특징은 화면 상단에 등장하는 나한의 묘사에서 두드러지는데, 아미타 삼존을 비롯한 문수·보현 동자의 표현이 조선 후기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면, 나한상 6위의 얼굴 표현은 주색(朱色) 바림의 음영을 통해 얼굴의 굴곡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어, 음영을 부각시켜 인물의 개성을 표현하는 근대 불화의 성격으로 조선 후기 불화에서 근대 불화로 전환되는 과도기적인 변화 단계를 보여주고 있는 자료이다.

또한 중생의 사후 세계를 관장하는 지장보살과 명부(冥府)에서 중생들의 죄질을 심판하는 십대 명왕들, 그리고 그 권속들을 도설하고 있는 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가 있었으나 현재 범어사 성보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1919년에 제작된 작품이기는 하나 전통 기법을 가진 고식적인 구도, 독특한 표현 기법, 섬세하고 아름다운 문양, 유려한 선 처리 등 이 시대 작품으로는 보기 드문 아름다운 작품으로 주목받는 문화재이다.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9호이다.

삼층탑에 진신사리3과를 봉안하여 여래진신사리보탑이라고 칭함

대웅전 바로 옆에 삼성각에는 칠성탱·산신탱·신중탱과 원효·의상(義湘동산(東山)의 진영이 있다. 대웅전 왼편에 요사인 설현당(說玄堂), 오른편에 보림원(寶林院)이 자리하고 있다. 대웅전 뒤편으로 삼소굴(三笑窟)이라는  선원이 자리하고 있다. 최근에 조성한 3층 석탑도 경내에 있다.

안적사 전경

안적사는 비록 건축물은 최근에 지어졌지만 신라 시대 승려 원효와 의상이 젊었을 때 화엄경을 깊이 연구하였다고 전해지는 사찰로 신심이 깊은 신도와 수선납자가 꾸준히 이 절을 찾고 있다. 현재 범어사의 수사찰(首寺刹)이고 신라시대의 맥이 지금도 이어지고 있는 것 같다.

앵림산(鶯林山)은 산속에 꾀꼬리 떼들이 모였다 하여 붙은 이름으로 장산의 북쪽 연봉으로, 북서쪽 골짜기에서는 내동천이 발원해 내동 마을의 내리교를 가로질러 흘러내린다. 앵림산 주변에는 억새 군락지가 형성되어 있고 해송이 주를 이루며, 사방으로 너덜겅이 있다. 그리고 2시간에서 7~8시간에 이르는 다양한 산행 코스와 시원하고 조용한 계곡도 있어 등산객과 여름철 가족 피서지로도 각광받고 있다.

앵림산(鶯林山)과 원효(元曉)와 의상(義湘)대사의 이야기

원효(元曉)대사와 의상(義湘)대사는 젊었을 때 불교의 경전인 화엄경을 깊이 연구하며 안적사에서 정진하였다. 안적사(安寂寺)가 있는 곳은 동해의 푸른 바다가 아른거리고, 숲이 울창하며, 기후가 따뜻하여 온갖 새가 지저귀고 있는 극락같이 아름다운 곳이다. 더욱이 따뜻한 남쪽 나라에만 있는 꾀꼬리와 극락조가 짝을 지어 지저귀고, 사람들의 팔과 어깨에 앉기도 하였다.

그래서 이곳을 앵림산(鶯林山)이라 했다. 이 극락 같은 곳에서 원효대사는 안적사 자리에 토굴을 만들고, 의상대사는 꾀꼬리 떼가 많이 서식하는 그 아래에 토굴을 만들어 주석하였다. 의상대사는 탁발하지도 않고 선녀가 올리는 공양을 받고 있는 것이 자랑스러웠다. 이를 자랑하고 싶어 사형으로 모시고 있는 원효대가를 공양에 초대하였다. 그런데 이날 어김없이 공양을 올리던 선녀는 끝내 나타나지 아니하였다.

기다리다 못해 되돌아 간 후에 나타난 선녀에게 의상대사는 무안을 당한 화풀이를 하였다. 선녀는 원효대사가 앉은 곳에 화광이 충전하여 접근할 수 없었다고 변명하였다. 그때 의상스님은 원효스님이 금강 삼매에 들어 신통을 부린 것을 알게 되었다. 그 후로 의상스님은 교만심을 버리게 되어 크게 득도하였다고 한다.

1973년 불사에 크게 기여한 신도의 무덤인 듯

반응형
반응형

아침 햇살에 반짝이는 물결처럼, 단풍 빛깔에 비치는 물결처럼, 이 모두 비단 빛의 물결이라서 비단 금(錦), 물 수(水)하여 금수(錦水)라고 하고 천년, 만년 동안 거울처럼 맑고 얼음처럼 차가운 금수가 사시사철 흐르는 골짜기가 금수동(錦水洞)이다. 금수(錦水)는 삼각산 박치골의 박천(朴川) 물과 불광산 백련암 계곡의 물이 합류한 청정한 물로써 이 아름다운 계곡인 금수동(錦水洞)이 장안사 계곡을 대표하고 있다.

금수동 각석

장안사(長安寺)로 가기 위해 통과하는 초입 골짜기가 금수동(錦水洞)이고 멋있게 맞이하는 것이 금수동(錦水洞) 각석이다. 상장안 마을 첫 주차장과 둘째 주차장사이의 도로변 암벽에 錦水洞 세 글자를 초서체로 새겨져 있는데 그 유려함이 매우 뛰어나나 누구 썼는지는 알 수 없다. 단지 그 옛날 금수동(錦水洞) 절경에 감탄한 유랑객이 필력을 다해 새겼으리라.
풍문에 의하면 이진순 현감, 본관이 능성 구씨인 선비 등이 썼다고 하며, 전설에 의하면 원효대사가 손가락으로 썼다고도 한다. 원효대사는 그만큼 이 지역에서 인연이 많다. 금수동 글자 오른쪽에는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이 새겨져 있고 왼쪽에는 산수계원(山水契員)과 사람이름 12명이 새겨져 있어 양반들의 계모임인 산수계에서 12명이 이곳에 놀러 와서 기념으로 새긴 것 같다.

금수동 글자 오른쪽에는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이 새겨져 있다.
왼쪽에는 산수계원(山水契員)과 사람이름 12명이 새겨져 있어 양반들의 계모임인 산수계에서 12명이 이곳에 놀러 와서 기념으로 새긴 것 같다.

불광산(660m) 산록에 위치한 장안사(長安寺)는 673년(문무왕 13) 원효(元曉)가 척판암(擲板庵)과 함께 창건했다는 『송고승전(宋高僧傳)』의 기록이 있다. 처음 절 앞에 계곡이 양 갈래로 흐르고 있어서 쌍계사(雙溪寺)로 불리다가 809년(애장왕 10)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기장현 읍지(機張縣邑誌)』에는 선여사, 취정사, 안적사, 장안사 등을 원효가 창건한 4대 사찰로 기록하고 있다.

천왕문 통과하면 맞이하는 부처님

장안사(長安寺)는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 때의 병화로 모두 소실되었다가 1631년(인조 8년)에 중창하였고 1638년(인조 16년)에는 태의대사(太義大師)가 중건하였다. 1660년(현종 1) 김방한(金邦翰)이 지은 「장안사 대웅전기(長安寺大雄殿記)」와 2009년 대웅전 지붕 밑에서 중수 연도가 적힌 상량문인 「순치 13년 종도리 묵서명(順治十三年記宗道里墨書銘)」이 발견되어 확인결과, 1654년(효종 5년)에는 박수(朴秀), 김억문(金億文), 최춘매(崔春梅) 등 72명이 시주하고, 1657년(효종 8) 학능(학능), 충묵(沖墨), 원정(元正)스님 등이 2월 4일에 불사를 시작하여 5월 12일에 기둥을 세우고, 6월 7일에 들보를 올리는 상량을 하였으며, 1658년에 중수를 완성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장안사 대웅전은 2012년 8월 6일 보물 제1771호로 지정되었다.

왼쪽의 나무는 수령이 200년 된 단풍나무로 보호수로 지정

1744년(영조 20)에는 대웅전 지붕 부분의 서까래 등을 교체·보수하였으며, 1951년에도 부분적으로 보수하였다. 1975년에는 처마를 다시 채색하였으며, 1987년에는 장안사 대웅전 지붕의 번와(翻瓦, 기와를 잇는 작업) 불사가 있었다.
현재 장안사 경내에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응진전, 명부전, 산신각, 설법전, 해동전, 불광전, 천왕문, 종각 등이 있으며 석조건축물에는 5층 석탑과 석등이 있다. 또한 경외 천왕문 오른쪽으로 걸어가면 대숲이 나타나는데 이곳에는 절터 주변에 있었던 부도(浮屠) 5기(基), 탑비(塔碑) 2기(基)를 옮겨 한 자리에 봉안하였다.

장안사 경내의 백미는 보물 제1771호인 대웅전(大雄殿)이다. 부산 지역 가장 오래된 다포식 목조 건축물로 1658년에 중수를 완성한 그때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기둥과 대들보 등 주요 구조 부재가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어, 건립 시기의 목조 건축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 원형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건물 폭에 비해 건물 자체 높이가 높고 처마가 깊게 돌출한 팔작지붕을 갖기 있기 때문에 평면의 규모에 비해 웅장한 느낌을 준다. 대웅전 공포의 화려함에 이어 창호(窓戶)의 아름다운 미를 볼 수 있는데 살문 맨 아래에는 태극무늬, 중간 좌우에는 빗살(교살)과 솟을살(격자빗살), 그리고 맨 위에는 빗살과 원형의 꽃 살로 살문을 꾸며서 소목장의 뛰어난 미적안목과 감각을 느낄 수 있다.

대웅전(大雄殿)은 부산 지역 가장 오래된 정면 3칸, 측면 3칸 팔작지붕 겹처마의 다포식 목조 건축물로 1658년에 중수를 완성한 그때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겹처마 건물로 측면에서 볼 때 팔(八) 자 모양을 가진 팔작지붕의 다포(多包) 양식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기둥 윗부분을 장식해 주는 공포는 기둥 윗부분 외에 기둥 사이에도 설치되어 있다. 그러면서도 전면 공포는 후면 공포나 좌우면 공포와도 양식의 차이를 나타내는 등 몇 차례에 걸친 공포의 보수·교체 흔적이 보인다.

대웅전 후면으로 겹처마와 돌담의 평행미가 돋보인다.
대웅전 측면으로 단청과 공포의 화려함을 느낄수 있다.

대웅전 內 삼존불 중앙에는 석가여래, 왼쪽에는 약사여래, 오른쪽에는 아미타여래로 구성되어 있고, 본존불인 석가여래는 1659년 대화원(大畵員) 녹원(鹿元)을 비롯하여 편수(片手)인 명자(明紫), 학륜(學崙), 각인(覺仁)이 참여하여 불신(佛身)은 불석(佛石, 제오라이트), 양손은 나무로 조성한 석조 석가여래삼불좌상(石造 釋迦如來三佛坐像)으로 보물 제1834호이다.

대웅전 창호(窓戶)에서 아름다운 미를 볼 수 있는데 살문 맨 아래에는 태극무늬, 중간 좌우에는 빗살(교살)과 솟을살(격자빗살), 그리고 맨 위에는 빗살과 원형의 꽃 살로 살문을 꾸며서 소목장의 뛰어난 미적안목과 감각을 느낄 수 있다.

 

턱이 짧은 방형의 얼굴에 콧날이 우뚝하며, 부드럽고 자비로운 미소를 띠고 있다. 이 불상은 조성연대와 작가가 밝혀져 있어 17세기 중·후반 불교조각사 연구에 기준 작이 될 수 있고, 불석 제 불상의 본격적인 유행 시점에 제작되어 불상 재료 연구에 중요한 불상으로 평가된다. 후불탱화는 석가영산회상도(釋迦靈山會上圖)로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87호이다.

대웅전 옆 산신각

응진전(應眞殿)은 맞배지붕 겹처마의 정면 3칸, 측면 2칸 익공양식으로 1899년에 건립되었고 나한전(羅漢殿)이라고도 하는데 공포는 전반적으로 장식적인 성향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으며 겹처마를 통하여 공포 살미 초제공, 이제공의 연화 앙서형, 삼제공의 용두와 봉두의 화려함을 부각하였는데 19세기말 부산지역 사찰의 건축특성을 확인 할 수가 있다. 

응진전(應眞殿)은 맞배지붕의 정면 3칸, 측면 2칸 익공양식으로 1899년에 건립되었다.

 

응진전 공포 살미의 초제공, 이제공은 연화 앙서형, 삼제공은 봉두로 조각되어 있다.

 

살미의 삼제공이 용두로 조각되어 있다.

중앙의 주불은 석가모니, 왼쪽에는 미륵보살, 오른쪽은 제화갈라보살 그리고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85호인 석조 석가 삼존 십육 나한상이 모셔졌다. 후불탱화인 석가 영산회상도(釋迦靈山會上圖)는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88호이다. 나한은 석가여래가 열반한 후 미륵이 나타나기까지 열반에 들지 않고 이 세상에 있으면서 불법을 수호하도록 위임한 분들이다.

중앙의 주불은 석가모니, 왼쪽에는 미륵보살, 오른쪽은 제화갈라보살

명부전(冥府殿)은 맞배지붕의 정면 3칸, 측면 3칸 익공양식으로 1744년 중건되었고 주불은 지장보살, 왼쪽에는 도명존자, 오른쪽은 무독귀왕을 모신 곳이며 지장전이라고 하고 지옥의 심판관인 모신 곳이라서 시왕전이라고도 한다. 지장보살 뒷면에 봉안 된 지장보살도는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89호이고 석조 지장 시왕상은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86호이다.
육도에서 헤매는 중생들이 죽으면 염마대왕 앞에 나가 자기가 지은 죄악에 대해 엄격하고도 공정한 재판을 밭게 되는데 그 재판은 10대왕이 하게 된다.

명부전(冥府殿)은 맞배지붕의 정면 3칸, 측면 3칸 익공양식으로 1744년 중건되었다. 왼쪽은 석등

설법전(說法殿)은 팔작지붕에 정면 5칸, 측면 3칸의 커다란 규모로 최근에 지었다. 안에는 금동 와불상(臥佛像)이 봉안되어 있다. 와불 복장(腹藏)에는 2001년 미얀마 마웅매이사(寺)의 승려 우뚜리야 사야도우가 기증한 진신 사리 3과가 봉안되어 있다.

설법전(說法殿)은 팔작지붕에 정면 5칸, 측면 3칸의 커다란 규모로 최근에 지었다.

삼층석탑에도 혜경선사가 태국에서 부처님 진신사리 7과를 구해서 봉안하였다.

부처님 진신사리 7과가 봉안 된 삼층석탑

부도(浮屠)와 탑비(塔碑)
천왕문 오른쪽으로 걸어가면 대숲이 나타나는데 입구에 「원효 이야기 숲 안내도」 표지판이 있다. 이곳 원효 이야기 숲 초입에 고려말 부터 조성되기 시작한 석종형(石鐘形) 부도(浮屠) 5기(基), 탑비(塔碑) 2기(基)가 있다. 절터 주변에 있던 이들을 장안사 종루 왼쪽에 옮겨졌다가 현재는 위치로 다시 옮겨져 있다. 원효 이야기 숲은 조성 중인 것 같다.

원효 이야기 숲 입구

부도 가운데 문자가 새겨진 것은 선암당 명열대사(仙岩堂 明悅大師) 부도뿐이다. 명열대사 부도는 옥개가 생략되고 석종형으로 전면에 仙岩堂 明悅大師塔이란 명문이 있고 후면에는 가경(嘉慶) 3년(정조 22년, 1798년) 9월에 조성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딴 기록은 글자가 마멸되어 판독할 수가 없다. 이 이외의 부도는 8각의 옥개석을 얹은 것이 있고 중대석과 하대석이 한 돌로 구성된 부도도 있으며 높이 147㎝의 부도도 있으며 모두 5기의 부도가 있다.

선암당 명열대사(仙岩堂 明悅大師) 부도는 옥개가 생략되고 종형으로 전면에 仙岩堂 明悅大師塔이란 명문이 있고 후면에는 가경(嘉慶) 3년(정조 22년, 1798년) 9월에 조성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글자가 마멸되어 판독할 수가 없다.
석종형(石鐘形) 부도 (浮屠)로 중대석과 하대석이 한돌로 되어있다.

부도와 연관된 탑비(塔碑)는 2기가 있는데 그 하나는 1754년(영조 30, 건륭 19년)에 처음 세웠는데 1844년(현종 10, 도광 24년)에 다시 세운 「선교양종 월조당 대선사지탑비(禪敎兩宗 月照堂 大禪師之塔碑)」이고 다른 하나는 1775년(영조 51, 건륭 40년) 세운 「연파당대사 쾌주지비(蓮坡堂大師 快淍之碑)」다.
연파당 대사(蓮坡堂大師) 쾌주비(快淍碑)
蓮坡堂大師快淍之碑
乾隆四十年乙未九月日 上左錦察允澤
건륭 40년(1775) 을미년 9월 일 상좌 금찰 윤택

蓮坡堂大師快淍之碑
乾隆四十年乙未九月日 上左錦察允澤

선교양종(禪敎兩宗) 월조당 대선사(月照堂大禪師) 탑비(塔碑)
禪敎兩宗月照堂大禪師之塔碑
師諱克存 俗姓張氏 車成人也 幼從粹寬定師落髮 長隨香坡
선사의 휘는 극존(克存)이오, 속성은 장(張)씨로 거성(車成) 사람이다. 어려서 수관정사(粹寬定師)를 따라 머리를 깎았고, 커서는 향파(香坡)를 따르며
粗味敎亻又 後隨靑霄 更參禪旨 老而彌傳來祖焰淸虛七代 年臨稀二卒恙
대략 교종의 가르침을 맛보았다. 그 뒤 청소선사(靑霄禪師)를 따르며 참선의 뜻을 알았으며, 늙어서는 조사 청허(淸虛)의 7대 뒤를 뒤이었다. 나이 72세에 병으로 죽었다
皈寂三日 周維禪光亙天 灵骨二枚 形具五色 一安長安 一安雲興寺
선사가 입적한 지 3일 뒤에 선광(禪光)이 주위를 두르며 하늘에까지 닿았고, 사리 2매가 다섯 가지 색을 갖추고 있었다. 하나는 장안사(長安寺)에 안치하고, 또 하나는 운흥사(雲興寺)에안치하였다.
世稀有 故樹塔焉 □□ 哲海平順 平學性玉 最屹有侃
이는 세상에 드문 일이므로 탑을 세워둔다. 철해 평순, 평학 성옥, 최흘 유간.
(乾隆十九年)甲戌四月日立 都監通政眞札
건륭19년 갑술년(1754) 4월에 세우다. 도감 통정 진찰
道光二十四年甲辰二月日 改立 定林
도광24년 갑진년(1844) 2월 다시 세우다. 정림

禪敎兩宗月照堂大禪師之塔碑
師諱克存 俗姓張氏 車成人也 幼從粹寬定師落髮 長隨香坡 粗味敎亻又 後隨靑霄 更參禪旨 老而彌傳來祖焰淸虛七代 年臨稀二卒恙 皈寂三日 周維禪光亙天 灵骨二枚 形具五色 一安長安 一安雲興寺 世稀有 故樹塔焉 □□ 哲海平順 平學性玉 最屹有侃 (乾隆十九年)甲戌四月日立 都監通政眞札 道光二十四年甲辰二月日 改立 定林

청룡등(靑龍嶝) 절단에 얽힌 전설
청룡등(靑龍嶝) 대한 전설은 2가지가 있다. 하나는 혜통국사와 독룡 관련이야기고 다른 하나는 스님들 이야기다. 혜통국사(惠通國師)와 독룡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신라 효소왕 때 기장산(機張山=달음산)에 숨어 있던 독룡이 곰으로 화신하여 주민들에게 큰 해를 입히고 있었다. 당시 혜통국사(惠通國師)께서는 친히 기장산의 독룡을 퇴치하려고 기장현에 왔었다. 독룡은 동해용왕에게 빌고서 이곳 청룡등에 숨어 있었다. 혜통국사께서는 독룡이 청룡등에 숨어있는 것을 알고 밀단법(密壇法)으로서 독룡을 설유하였다. 그러면서 독룡이 다치지 않고 도망칠 수 있도록 청룡등의 기슭을 헐어주었다. 그러나 독룡은 황금 송아지로 변신하여 또 도망하였다. 그리고 다시 기장산 바위굴에 곰으로 화신하여 숨어 있는것을 찾아 곰에게 불살계의 자비설법으로 단속하였다.
그때 혜통국사께서 청룡등의 기슭을 헐어놓게 되자 두 갈래 쌍계는 한 갈래 계곡수로 변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쌍계사를 장안사라고 고쳤고, 장안사는 독룡의 피해를 벗어나고 동해용왕의 가호를 받아 번성하고 있다고 한다.」

원효 이야기 숲 내 산책길

다른 하나인 스님들 이야기다
「장안사는 신라시대에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는데, 초기에는 쌍계사라 하다가 신라 애장왕께서 다녀간(809년) 후부터 장안사라 개칭되었다. 그때 이후부터 장안사는 찾아드는 방문객은 물론 치성 드리고 재 올리는 청탁이 날로 늘어나 매일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따라서 식당을 담당하는 부중 취사 전담 말석 스님들은 너무나 바빠 허리 한 번 펼 사이도 없이 종일 식사 뒷바라지에 시달려야 했다. 피곤이 쌓여 몸은 매일 지쳐 있었고 밥 지을 땔나무도 산에서 채취해 와야 했다.
밥 짓고 반찬 만들고, 그릇 씻고, 그야말로 한시 반시도 쉴 틈이 없으니 몸은 파김치가 되어 손가락 하나도 꼼짝하기가 싫을 지경이었다. 짜증이 절로 나왔다.
“이놈의 절이 언제쯤이나 망할꼬?”
탄식조로 나오는 넋두리들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이었다. 한 과객이 늦게야 찾아들어 그들과 함께 하룻밤을 묵게 되었다. 부중들의 넋두리를 듣던 과객이 말했다.
“절을 망하게 할 방책이 한 가지 있기는 한데, 그대들이 과연 그 일을 해 낼 수 있을지?”
은근히 부중들을 충동질하였다. 그러나 부중들은 귀가 번쩍 띄었다. 그들은 정색을 하고 다그쳐 물었다.
“정말로 방책이 있기나 합니까?” 힘없던 눈망울들이 번쩍 빛이 났다.
“어서 좀 일러 주십시오.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라면 무슨 짓인들 못하겠소.”
부중들의 성화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그제야 과객이 방책을 일러주었다.

그것은 바로 절 앞을 감싸고 흐르는 청룡골 개천 물 때문이다. 청룡등(靑龍嶝) 끝자락 잘록한 부분을 절단하여 똑바로 직선으로 흐르게 하라. 그러면 절은 자연적으로 쇠퇴할 것이라는 말이었다. 청룡등 잘록한 부분이 비록 가늘기는 하나 장비라고는 괭이와 삽밖에 없는 그들로서는 여간 거창한 공사가 아니었다. 그러나 부중들로서는 워낙 시달려왔기에 그런 저런 것 따질 형편이 아니었다.
당장 그 다음날 밤부터 일에 착수하여 교대로 밤을 새워가며 작업을 진행시켰다. 기간이 얼마나 흘렀을까? 어느 달 밝은 날 밤 공사가 거의 완공단계에 이르렀을 때였다. 절단 부위에서 시뻘건 피가 터져 나오더니 이어서 황금송아지가 뛰어나와 슬픈 울음을 세 번 울고는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다. 그런 일이 있은 후 얼마 지나서였다. 절로 찾아드는 손님이 하나 둘씩 줄어들더니 마침내 손님의 발걸음이 완전히 끊어지고, 절은 망해버렸다는 것이다.」

두 이야기의 결과는 서로 상반된 내용이다. 이 대목에서 청룡등(靑龍嶝)의 존재와 위치가 궁금하다.

신라 불교 사상을 대표하는 사상가이자 승려인 원효(元曉)
원효(元曉, 617~686)는 성은 설씨(薛氏)이며, 아명은 서당(誓幢)·신당(新幢). 경상북도 경산에서 태어났다. 신라의 불교 사상을 대표하는 사상가이다. 서로 다른 견해에 내재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차원 높은 통섭(通攝)의 원리를 추구한 화쟁사상(和諍思想)은 불교뿐만 아니라 한국 철학의 모범이라 할 수 있다. 당나라 유학을 포기한 뒤 당시의 선진적인 불교 사상을 섭렵하여 화쟁의 논리로 체계화하였다.
원효(元曉)]에게 경주가 자신의 역량을 펼친 곳이라면, 젊은 원효의 주요 활동지 가운데 하나가 울산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기록에 보이는 낭지화상(郞智和尙)에게 불법을 배우는 장면이나 지통(智通)과 교유하며 수행한 곳이 울산의 반고사(槃皐寺)와 영축산 일대이다. 원효는 울주군 두동면 대곡리에 있던 반고사에서 지내면서 『안신사심론(安身事心論)』과 『초장관문(初章觀文)』을 저술한 뒤 울주 영취산에서 수행하던 낭지 화상에게 보내 비평을 부탁하였다.
남긴 저서는 약 80부 200권으로 알려져 있다. 그 가운데 완본으로 현존하는 저서는 『대혜도경종요(大慧度經宗要)』, 『법화종요(法華宗要)』, 『열반경종요(涅槃經宗要)』, 『미륵상생경종요(彌勒上生經宗要)』,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 『아미타경소(阿彌陀經疏)』, 『보살계본지범요기(菩薩戒本持犯要記)』,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대승기신론별기(大乘起信論別記)』,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이장의(二障義)』,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대승육정참회(大乘六情懺悔)』 등 13부이다. 잔본(殘本)으로 현존하는 저서는 『화엄경소(華巖經疏)』, 『본업경소(本業經疏)』, 『범망경보살계본사기(梵網經菩薩戒本私記)』, 『판비량론(判比量論)』, 『중변분별론소(中邊分別論疏)』, 『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 등 6부와 『해심밀경소서(解深密經疏序)』, 『미타증성게(彌陀證性偈)』 등 총 20여 종이다.
불광산(660m)은 대동여지도(1861년)에 기장현 장안의 주산으로 표기돼 있고, 조선 후기에 지어진 '차성가'에도 「불광산 솟았으니 사문법계 없을 손가(이하 생략)」라고 이곳의 경관을 노래하고 있다. 불광산의 다른 이름은 팔기산으로 '봉우리 8개로 이루어진 산'이란 뜻이다.
차성가(車城歌)는 기장의 명소·마을 등 140여 곳의 아름다움을 풍수지리에 맞춰 호방하게 노래한 기행가사다. 창작 연대는 1800년대 중반, 작자는 미상이다. 차성은 고려시대부터 불린 기장의 옛 이름. 차성, 즉 수레(車)와 성(城)은 나라의 해안 변경 군사상의 요충지를 암시하고 있다.
삼각산(425m)는 장안사 서쪽에 있는 산으로 전형적인 노년산지로 산봉우리는 왕릉처럼 둥그스레하나 산기슭은 가파른 편이다. 삼각산이란 삿갓모양의 3개의 봉우리가 동서로 나란히 솟아 있는데서 비롯되며, 기우제를 지내던 산이라고 한다. 즉, 이 삼각산을 삼신산으로 삼아 인근마을 사람들은 가뭄이 들면 이곳에서 기우제를 올렸고 그러면 꼭 단비가 내려 해갈이 되었다고 한다.
박천(朴川)은 삼각산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르는 천으로 박천(朴川)은 밝내 로서 예부터 신선한 곳으로 인식해왔다. 옛날 이 삼각산 아래 박천물에서 삼각산의 산정으로 붉게 떠오르는 태양을 숭배하는 제사를 올린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매년 정월 대보름날이면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대왕바위 앞 해안가에는 전국에서 온 불교 신도들이 용왕제 행사의 일환으로 물고기 방생을 하면서 소원을 비는 곳이다. 또한 무당들도 와서 굿을 올리는데 이곳이 영험하여 최영장군처럼 투구 쓰고 갑옷 입은 문무대왕 형상이 나타난다고 한다여기 대왕바위는 해변에서 약 200m 거리의 바다 가운데에 있는 자연바위로 신라 최초 화장을 하여 동해용 된 사적 제158호인 문무대왕 수중릉(水中陵)이다. 동해용이 된 문무대왕에게 많은 불교신도들이 소원을 빌었고 무당들은 영험한 기를 받으려고 여기를 찾았다.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대왕바위 앞 해안가에는 유달리 갈매기가 많다.

68171일 지략가이자 삼한통일을 이룩한 신라 제30대 왕인 문무대왕(재위기간 : 6616~ 6817, 201개월)이 승하하였다. 문무대왕의 이름은 법민이며, 태종 무열왕의 맏아들 이였다. 어머니는 문명 왕후이며, 김유신 장군의 누이였다. 법민은 외모가 영특하고, 총명하고 지략이 많았다. 태종 원년(654)에 파진찬으로서 병부령이 되었다가 곧 태자로 책봉되었다. 태자 때부터 삼한통일 전쟁에 참전하여 많은 공을 세웠다. 특히 660년 백제 정벌 전쟁 때는 태종 무열왕을 대신하여 신라군을 직접 지휘하였다. 661년 태종 무열왕이 죽자 신라 제30대 왕이 되었고 676년 대동강 이남 땅을 장악하여 삼한 통일의 과업을 성취하였다.

 주목할 것은 문무대왕의 능으로 신라 최초 불교식 화장을 하였고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수중릉이다. 이후 화장을 한 신라왕은 34대 효성왕, 37대 선덕왕, 51대 진성여왕이며 진성여왕은 화장 후 동해바다에 산골(散骨)하여 능이 없다. 그리고 38대 원성왕은 화장 후 매장을 했기 때문에 괘릉이라는 능이 있다. 문무대왕은 말년에 병환으로 세상 떠나기 전 불교 법식으로 화장하고 장례 절차는 철저히 검소하게 하라고 유언을 남겼다. 그리고 별세 후 10일 지나 고문외정(庫門外庭)에서 화장을 하였고(이화소장 : 以火燒葬) 다음 해 5월 이곳 봉길 바닷가 바위섬에서 장골(藏骨)하여 10개월간의 장례 여정을 마쳤다.

신라 최초 화장을 하여 동해용 된 사적 제158호인 문무대왕 수중릉(水中陵)

문무대왕의 수중릉 여부는 과거 학계에서 문무왕의 장례가 산골이냐, 장골이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논란의 한가운데 있었다. 이에 71년대 신라오악조사단과 KBS 역사스페셜에서 문무대왕릉의 진위여부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보면, 문무대왕릉은 큰 네 개의 암초에 십자가 모양의 물길(3.5m)이 동, , , 북으로 형성되어 있고 십자가 모양의 중앙에는 웅덩이 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거북이 등 모양의 바위(길이 3m, 2.2m)가 한 중앙에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물길은 동쪽에서 물이 들어와서 서쪽으로 물이 나가는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KBS 역사스페셜 조사 때 동쪽 입구를 막고 양수기로 배수를 한 후 상세 조사를 해보니, 거북이 등 모양 바위는 암반 위에 평평하게 자리 잡아 둘 사이에 공간 없고 부장품 또한 없었다. 웅덩이의 수심은 1.5m이고 네 개의 암초는 하나의 암반 위에 형성되었고 거북이 등 모양 바위 또한 이 암반에서 떨어져 나온 바위였다. 여기서 인위적으로 작업을 한 흔적은 거북이 등 모양 바위 주위 사면은 정으로 다듬었고, 서쪽으로 빠지는 출구도 낮게 깎았고 거북이 등 모양 바위는 이동하여 남북방향으로 자리 잡아 눕히었다. 즉 화장 후 문무대왕의 유골을 장골하기 위해 동해 바위섬 일부를 인위적으로 조성하였다. 문무대왕릉의 위치 근거는 삼국유사(三國遺事) 기이(紀異) 2 만파식적(萬波息笛)과 문무대왕이 용으로 변한 모습을 본 이견대(利見臺) 위치를 통해 알 수 있다.

문무대왕 별세 후 10일 지나 고문외정(庫門外庭)에서 화장을 하였고(이화소장 : 以火燒葬) 다음 해 5월 이곳 봉길 바닷가 바위섬에서 장골(藏骨)하여 10개월간의 장례 여정을 마쳤다.
문무대왕릉의 평면도와 실측도 : 바닷물의 출입과 중앙에 있는 거북이 등 모양의 바위를 실측적으로 보여준다. 화장 후 문무대왕의 유골을 장골하기 위해 동해 바위섬 일부를 인위적으로 조성하였다.

그럼 문무대왕의 화장터는 어디 일까?

일제강점기 1930년대말 조선고적연구회 명의의 보고서에 낭산 배반동 능지탑터를 화장지 유적 가능성을 언급하였고 1969년부터 197911년간 삼산오악학술조사단의 능지탑(陵旨塔) 발굴 조사 때 유구 중심부 지하에서 땅이 까맣고 불에 탄 흔적 발견하여 문무대왕의 화장터로 추정하였다. 통일신라 당시 신문왕 때 부왕의 화장터를 기념, 보존하기 위해 십이지신상을 배치한 능지탑이 세워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배반동은 옛 부터 대문(大門)터라고 불러서 삼국사기에 나오는 화장장소인 고문외정(庫門外庭)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현재 능지탑은 197810월부터 보수공사를 시작하여 19791125일에 공사 완료한 모습이다. 능지탑의 다른 이름으로 연화탑(蓮華塔)이라고 불렀는데 상부 옥개부분에 복련의 연꽃 조각한 돌 장식을 하였기 때문이다.

낭산 경주 배반동 낭산에 위치하고 있는 능지탑(陵旨塔)
1969년부터 1979년 11년간 삼산오악학술조사단의 능지탑(陵旨塔) 발굴 조사 때 유구 중심부 지하에서 땅이 까맣고 불에 탄 흔적 발견하여 문무대왕의 화장터로 추정하였다.
통일신라 당시 신문왕 때 부왕의 화장터를 기념, 보존하기 위해 십이지신상을 배치한 능지탑이 세워진 것으로 판단되고 배반동은 옛 부터 대문(大門)터라고 불러서 삼국사기에 나오는 화장장소인 고문외정(庫門外庭)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능지탑의 다른 이름으로 연화탑(蓮華塔)이라고 불렀는데 상부 옥개부분에 복련의 연꽃 조각한 돌 장식을 하였기 때문이다.

낭산(狼山)은 신라시대부터 신이 내려와 거닐던 숲이라 하여 신유림(神遊林)이라 하여 신령스러운 산으로 숭앙받았다. 그리고 낭산을 위에서 보며 형상이 이리처럼 생겼다하여 이리 狼字에 낭산(狼山)이라고 불렀다. 낭산 주변에는 선덕여왕릉, 문무대왕이 호국사찰로 건립한 사천왕사터, 왕실 원복 사찰인 황복사터, 신문왕릉 등이 있다.

사천왕사터 당간지주 옆 벌판에 있는 동귀부와 서귀부
사천왕사터 서귀부(도로변)
마치 살아있는 거북을 연상케한다.

경주국립박물관에 있는 문무대왕비가 사천왕사터의 서귀부에 있는 비임을 확인되었고 서귀부 방향은 능지탑을 바라보는 북쪽방향 인데 일제강점기 때 철도공사에 따라 남향으로 바뀌어졌다문무대왕비에는 앞면에 신라에 대한 찬미, 신라 김씨의 내력, 태종무열왕의 사적, 문무왕의 사적 및 백제평정에 관한 내용이, 뒷면에는 문무왕의 유언과 장례에 관한 내용 및 비문의 명이 새겨있다.

선상에서 본 문무대왕릉

문무대왕은 왜 화장을 하여 용이 되려고 하였을까?

그것은 통일신라초기 왕권강화이다. 성골에서 진골 金氏 무열왕권의 정당화와 통일신라시대 전제왕권 확립이다. 이전 성골 시대를 살펴보면 신라왕실의 권위와 호국을 상징하는 보물인 신라삼보(新羅三寶)가 있었다. 황룡사 장육상(皇龍寺 丈六像), 천사옥대(天賜玉帶), 황룡사 구층목탑으로 모후의 수렴청정에서 벗어난 진흥왕이 조성한 황룡사 장육상, 진지왕을 폐위시키고 왕이 된 진평왕 이 천사(天使)에게 받은 옥대, 신라 최초 여왕인 선덕여왕이 나라 위기 때 완공한 황룡사 구층목탑이다. 즉 문무대왕은 왕즉룡, 사후에 통일신라 진골왕권의 수호용이 된 것이고 더불어 만파식적을 아들 신문왕에게 전달하여 왕권안정을 도모한 것이다.

신라시대에 왜의 침입은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초기에 침입이 33회로 주로 3, 4, 5월이며 문무왕대에 없었고 문무왕 이후 왜는 신라에 조공을 바치고 우호적 이였다. 왜는 삼국통일 전개 과정에서 백강전투에서 백제의 지원군이 출현하였고 패배 이후 국호를 일본으로 바꾸었다.

삼국사기 권 제6 신라본기 제 6 문무왕 ()

문무왕이 왕위에 올랐다. 그의 이름은 법민이며, 태종왕의 맏아들이다. 어머니는 김씨 문명 왕후이며, 소판 서현의 막내딸이고, 유신의 누이였다. 유신의 맏누이가 꿈에 서형산 꼭대기에 올라 앉아 오줌을 누었는데, 그 오줌이 흘러 나라 안에 두루 펴졌다. 그녀는 꿈을 깨고난 후에 동생에게 꿈 이야기를 하였다. 동생은 장난삼아 내가 언니의 꿈을 사고 싶다라고 말하고, 꿈 값으로 비단 치마를 주었다. 며칠 뒤에 유신이 춘추공과 공을 차다가 춘추의 옷고름을 밟아 떨어뜨렸다. 유신이 우리 집이 마침 가까운 곳에 있으니, 가서 옷고름을 답시다라고 말하고, 춘추와 함께 집으로 왔다. 그는 주연을 베풀고 조용히 보희를 불러 바늘과 실을 가지고 와서 옷을 꿰매도록 하였다.

그러나 맏누이 보희는 일이 있어 나오지 못하고, 동생이 앞에 나와 옷고름을 달았다. 그녀의 수수한 화장과 경쾌한 의복, 그리고 어여쁜 얼굴은 눈이 부시는듯하였다. 춘추가 보고 기뻐하여 곧 혼인을 청하여 혼인식을 올렸다. 그녀는 바로 임신하여 남자아이를 낳았다. 이 아이를 법민이라 하였다. 왕비는 자의왕후이니 파진찬 선품의 딸이다. 법민은 외모가 영특하고, 총명하고 지략이 많았다. 영휘 초에 당 나라에 갔을 때, 고종이 대부경 벼슬을 주었다. 태종 원년에 파진찬으로서 병부령이 되었다가 얼마 안되어 태자로 책봉되었다. 현경 5년에 태종이 당 나라 장수 소정방과 백제를 평정할 때, 법민이 종군하여 큰 공을 세웠고, 이때에 이르러 왕위에 올랐다.

삼국사기 권 제7 신라본기 제 7 문무왕 ()

가을 71, 왕이 별세하였다. 시호를 문무라 하고 여러 신하들이 유언에 따라 동해 어구 큰 바위에 장사지냈다. 속설에 전하기를 왕이 용으로 변하였다고 하였다. 이에 따라 그 바위를 대왕석이라고 불렀다. 왕은 다음과 같이 유언하였다.

과인은 어지러운 때에 태어난 운명이어서 자주 전쟁을 만났다. 서쪽을 치고 북쪽을 정벌하여 강토를 평정하였으며, 반란자를 토벌하고 화해를 원하는 자와 손을 잡아, 마침내 원근을 안정시켰다. 위로는 선조의 유훈을 받들고 아래로는 부자의 원수를 갚았으며, 전쟁 중에 죽은 자와 산 자에게 공평하게 상을 주었고, 안팎으로 고르게 관작을 주었다. 병기를 녹여 농기구를 만들어서, 백성들로 하여금 천수를 다하도록 하였으며, 납세와 부역을 줄여 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하게 하여, 백성들은 자기의 집을 편하게 여기고, 나라에는 근심이 사라지게 하였다. 창고에는 산처럼 곡식이 쌓이고 감옥에는 풀밭이 우거졌으니, 가히 선조들에게 부끄러울 것이 없었고, 백성들에게도 짐진 것이 없었다고 할 만하였다.

내가 풍상을 겪어 드디어 병이 생겼고, 정사에 힘이 들어 더욱 병이 중하게 되었다. 운명이 다하면 이름만 남는 것은 고금에 동일하니, 홀연 죽음의 어두운 길로 되돌아가는 데에 무슨 여한이 있으랴! 태자는 일찍부터 현덕을 쌓았고, 오랫동안 동궁의 자리에 있었으니, 위로는 여러 재상으로부터 아래로는 낮은 관리에 이르기까지, 죽은 자를 보내는 의리를 어기지 말고, 산 자를 섬기는 예를 잊지 말라. 종묘의 주인은 잠시라도 비어서는 안 될 것이니, 태자는 나의 관 앞에서 왕위를 계승하라. 세월이 가면 산과 계곡도 변하고, 세대 또한 흐름에 따라 변하는 것이니, 오 왕의 북산 무덤에서 어찌 향로의 광채를 볼 수 있겠는가? 위 왕의 서릉에는 동작이란 이름만 들릴 뿐이로다.

옛날 만사를 처리하던 영웅도 마지막에는 한 무더기 흙이 되어, 나무꾼과 목동들이 그 위에서 노래하고, 여우와 토끼는 그 옆에 굴을 팔 것이다. 그러므로 헛되이 재물을 낭비하는 것은 역사서의 비방거리가 될 것이요, 헛되이 사람을 수고롭게 하더라도 나의 혼백을 구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일을 조용히 생각하면 마음 아프기 그지 없으니, 이는 내가 즐기는 바가 아니다. 숨을 거둔 열흘 후, 바깥 뜰 창고 앞에서 나의 시체를 불교의 법식으로 화장하라. 상복의 경중은 본래의 규정이 있으니 그대로 하되, 장례의 절차는 철저히 검소하게 해야 할 것이다. 변경의 성과 요새 및 주와 군의 과세 중에 절대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것은 잘 살펴서 모두 폐지할 것이요, 법령과 격식에 불편한 것이 있으면 즉시 바꾸고, 원근에 포고하여, 백성들이 그 뜻을 알게 하라. 다음 왕이 이를 시행하라!”

봉길 지명 유래는 慶州 崔氏가 이 마을을 개척할 때 마을이 마치 봉황이 알을 품은 것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하여 "鳳吉"이라 부르다가 조선 말기부터 奉吉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반응형
반응형

동경주(양남면·양북면·감포읍)지역 동해구의 문화유적답사 3각 포인트는 감은사지, 문무대왕릉, 이견대(利見臺). 이 중 감포읍(甘浦邑) 대본리 해안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는 이견대(利見臺)는 특히 사진애호가들이 일출 사진을 즐겨 찾는 곳이다. 맞은편에는 폐교된 대본초등학교가 있으며 이견대 아래는 바닷가와 인접한 횟집이 즐비하게 있고 좀 더 안쪽으로는 대본항이 있다. 이견대의 이름은 주역(周易)''비용재천(飛龍在天), 이견대인(利見大人)'이란 문구에서 따온 것으로 바다에 나타난 용을 보고 나라에 크게 이익이 있었다는 뜻이다. 그리고 6825월 신문왕(神文王)이 이곳에서 동해용으로 부터 흑옥대(黑玉帶)만파식적(萬波息笛)을 만들 대나무를 얻었다.

문무대왕(文武大王)의 아들 신문왕이 이곳에 도착하기 위해서는 서라벌에서 수레를 타고 추령(楸嶺, 고도310m)고개를 넘어야 한다. 추령고개는 경주시의 동쪽에 있는 북천의 발원지인 황룡동과 대종천의 발원지인 양북면 장항리 사이에 있는 고개로 이름은 가래나무 추()’고개 령()’ 한자의 뜻을 따서 표기한 것이다. 서낭당이 있어 서낭재라고도 불렀다. 경주시내와 동해안의 양북면·감포읍지역을 연결하는 최단코스이자 가장 낮은 곳이기 때문에 일제강점기 때 4번 국도가 추령을 지나가게 건설되었다. 1998년에 추령터널이 개통되면서, 현재는 단풍구경을 위한 드라이브 코스로 이용되고 있다.

신문왕이 탄 수레가 추령고개를 넘어 용연폭포에서 점심을 먹고 잠시 휴식을 취한 후 기림사에 도착하여 앞에 흐르는 대종천 지류인 호암천(虎岩川)에서 배를 타고 본류인 대종천을 만나기 위해 출발했을 것이다. 호암천(虎岩川)은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의 성황현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안동리에서 대종천에 합류하는 하천으로 호암(虎岩)은 순우리말 이름인 범바위에 대해 한자의 뜻을 따서 표기한 것이다.

안동리에서 대종천을 만난 배는 동해방향인 하류를 따라 감은사 선착장에 도착하여 감은사에서 하루정도 묵으면서 여독을 풀었을 것이다. 다음날 감은사 뒤편 연화산 능선을 따라 이곳 이견대에 도착하여 부왕 문무대왕릉을 바라다보며 제를 지냈을 신문왕의 마음을 살펴보면 그의 효심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축성의 연대는 감은사와 문무대왕릉이 완공되는 시기로 추정되며 현재의 건물은 1970년대 발굴 때 건물지(建物址) 초석이 확인되어 이를 근거로 새로이 건립한 것이다. 이견대의 내부에 걸려있는 <利見臺記>에 의하면 신라五嶽조사단의 발굴로 문무대왕 해중릉이 대왕암으로 고증되면서 역사의 부침 속에 잊혀진 채 기우단(祈雨壇)이나 역원(譯院)으로 쓰였던 이곳 이견대도 함께 중건되었다는 내력을 전하고 있다.

이견대 관련 내용을 삼국유사(三國遺事) 기이(紀異) 2 만파식적(萬波息笛)을 보면 다음과 같다.

31대 신문대왕(神文大王)의 이름은 정명(政明), 성은 김씨(金氏)이다. 개요(開耀) 원년(元年) 신사(辛巳; 681) 77일에 즉위했다. 아버지 문무대왕(文武大王)을 위하여 동해(東海) 가에 감은사(感恩寺)를 세웠다(절 안에 있는 기록에는 이렇게 말했다. 문무왕(文武王)이 왜병(倭兵)을 진압하고자 이 절을 처음 창건(創建)했는데 끝내지 못하고 죽어 바다의 용()이 되었다. 그 아들 신문왕(神文王)이 왕위(王位)에 올라 개요(開耀) 2(682)에 공사를 끝냈다. 금당(金堂) 뜰아래에 동쪽을 향해서 구멍을 하나 뚫어 두었으니 용()이 절에 들어와서 돌아다니게 위한 것이다. 대개 유언(遺言)으로 유골(遺骨)을 간직해 둔 곳은 대왕암(大王岩)이고, 절 이름은 감은사(感恩寺)이다. 뒤에 용()이 나타난 것을 본 곳을 이견대(利見臺)라고 했다.

이듬해 임오(壬午) 5월 초하루에 해관(海官) 파진찬(波珍飡) 박숙청(朴夙淸)이 아뢰었다. “동해 속에 있는 작은 산 하나가 물에 떠서 감은사를 향해 오는데 물결에 따라 이리저리 왔다 갔다 합니다.” 왕이 이상히 여겨 일관(日官) 김춘질(金春質; 혹은 춘일春日)을 명하여 점을 치게 했다. “대왕의 아버님께서 지금 바다의 용()이 되어 삼한(三韓)을 진호(鎭護)하고 계십니다. 또 김유신공(金庾信公)도 삼삼천(三三天)의 한 아들로서 지금 인간 세계에 내려와 대신(大臣)이 되었습니다. 이 두 성인(聖人)이 덕()을 함께 하여 이 성을 지킬 보물을 주시려고 하십니다. 만일 폐하께서 바닷가로 나가시면 반드시 값으로 칠 수 없는 큰 보물을 얻으실 것입니다.” 왕은 기뻐하여 그달 7일에 이견대(利見臺)로 나가 그 산을 바라보고 사자(使者)를 보내어 살펴보도록 했다.

산 모양은 마치 거북의 머리처럼 생겼는데 산 위에 한 개의 대나무가 있어 낮에는 둘이었다가 밤에는 합해서 하나가 되었다. 사자(使者)가 와서 사실대로 아뢰었다. 왕은 감은사에서 묵는데 이튿날 점심 때 보니 대나무가 합쳐져서 하나가 되는데, 천지(天地)가 진동하고 비바람이 몰아치며 7일 동안이나 어두웠다. 그 달 16일에 가니 용 한 마리가 검은 옥대(玉帶)를 받들어 바친다. 왕은 용을 맞아 함께 앉아서 묻는다. “이 산이 대나무와 함께 혹은 갈라지고 혹은 합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용이 대답한다. “비유해 말씀드리자면 한 손으로 치면 소리가 나지 않고 두 손으로 치면 소리가 나는 것과 같습니다.

이 대나무란 물건은 합쳐야 소리가 나는 것이오니, 성왕(聖王)께서는 소리로 천하를 다스리실 징조입니다. 왕께서는 이 대나무를 가지고 피리를 만들어 부시면 온 천하가 화평해질 것입니다. 이제 대왕의 아버님께서는 바다 속의 큰 용이 되셨고 유신은 다시 천신(天神)이 되어 두 성인이 마음을 같이 하여 이런 값으로 칠 수 없는 큰 보물을 보내시어 나로 하여금 바치게 한 것입니다.” 왕은 놀라고 기뻐하여 오색(五色) 비단과 금()과 옥()을 주고는 사자(使者)를 시켜 대나무를 베어 가지고 바다에서 나왔는데 그때 산과 용은 갑자기 모양을 감추고 보이지 않았다.

왕이 감은사에서 묵고 17일에 지림사(祗林寺) 서쪽 시냇가에 이르러 수레를 멈추고 점심을 먹었다. 태자(太子) 이공(理恭; 즉 효소대왕孝昭大王)이 대궐을 지키고 있다가 이 소식을 듣고 말을 달려와서 하례하고는 천천히 살펴보고 아뢰었다. “이 옥대(玉帶)의 여러 쪽은 모두 진짜 용입니다.” 왕이 말한다. “네가 어찌 그것을 아느냐.” “이 쪽 하나를 떼어 물에 넣어 보십시오.” 이에 옥대의 왼편 둘째 쪽을 떼어서 시냇물에 넣으니 금시에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가고 그 땅은 이내 못이 되었으니 그 못을 용연(龍淵)이라고 불렀다.

왕이 대궐로 돌아오자 그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어 월성천존고(月城天尊庫)에 간직해 두었는데 이 피리를 불면 적병(敵兵)이 물러가고 병()이 나으며, 가뭄에는 비가 오고 장마 지면 날이 개며, 바람이 멎고 물결이 가라앉는다. 이 피리를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 부르고 국보(國寶)로 삼았다. 효소왕(孝昭王) 때에 이르러 천수(天授) 4년 계사(癸巳; 693)에 부례랑(夫禮郞)이 살아서 돌아온 이상한 일로 해서 다시 이름을 고쳐 만만파파식적(萬萬波波息笛)이라 했다. 자세한 것은 그의 전기(傳記)에 실려 있다.

감포의 이름은 지형이()’자처럼 생겨서 만들어졌다는 설, 감은포라 부르다자가 생략되었다는 설이 있지만 둘 다 확실하지는 않다. 우리나라 마을의 순우리말 이름대부분이 한자의뜻이나 소리를 따서 기록하였다는 점에 기초하면, 감포리에 있는 순우리말이름인 감디 또는 감딧골과 물가를 의미하는가 합하여 한자의 소리와 뜻을 따서 감포리(甘浦里)라고 했다는 설도 있다. 특히 감포항은 바다가 내륙으로 깊숙이 들어와 있어 항구의 발달에 유리한 지형을 하고 있어 어항으로 발달하였다.

이견대(利見臺) 위치 진위 논란

이견대 위치에 대한 진위 논란의 발단은 황수영 박사가 불교신문(2002. 4. 30)에 기고한 佛跡逸話 경주 이견대칼럼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나는 1961년 감은사지 발굴 이후로 인접한 이견대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보아야겠다고 생각했는데, 1965년 오악조사를 계기로 이견대지를 본격적으로 탐사하게 되었다. 당시 이견대의 위치를 현재의 이견정(利見亭) 뒤쪽에 있는 산 위로 비정하는 주장과, 대본리 해변가로 보는 의견이 있었다. 산상설은 경주 유적에 밝은 최남주 선생이 주장하였고, 해변설은 마을의 노인들에 의한 것이었다. 나는 일단 촌로들의 말을 따라 그들이 말하는 지역을 1주일 동안 시굴해 보았다. 그 결과 비록 몹시 교란되기는 했으나 분명한 건물지가 발견되었다. 그리하여 이 자리를 이견대로 지목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지금 와서 생각해 보면 이 자리는 조선시대의 역원(驛院)터일 뿐 신라시대의 이견대는 아닌 듯하다.

1965년의 시굴 직후 나는 일단 이견정의 위치를 발굴지로 비정하기는 하였으나 삼국유사등의 문헌에 보이는 축성(築成)’의 자취를 찾지 못한 것이 못내 개운치 못하였다. 그래서 그 뒤로도 부근의 해안가를 두루 둘러보았으나 여전히 그 자취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던 중 1995년 가을 예전에 최남주 선생이 말하던 산 위를 찾아보기로 하였다. 그곳은 대본초등학교 뒷산으로, 현재의 이견정에서 국도를 건너면 올라가는 계단이 있다. 내가 이 지역을 새삼스레 주목한 것은 최남주 선생의 말 외에 문무대왕릉 관리인인 김도진씨의 얘기를 들었기 때문이었다. 즉 그의 말이 현재는 없어졌으나 옛날에는 대본부락에서 감은사로 넘어 가는 길이 이 산으로 해서 나 있었다는 것이었다.

나는 그의 인도로 산 위에 올라가 보았는데, 과연 약 4500평의 너른 대지가 있고 그 삼면에 인공으로 축석된 자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부근에 신라시대 와편이 보였고, 또한 커다란 민묘와 석비 1기가 있었다. 석비는 조선시대에 세워진 것인데, 비문 가운데 이견대(利見坮)’라는 글자가 보이기도 하였다. 이곳이 과연 고문헌에 보이는 이견대인지는 발굴 등의 정밀조사가 있어야 하겠으나, 한 눈에 동해구가 조망 되는데다가 서쪽으로는 감은사로 통하는 옛길의 존재도 짐작되었다. 이렇게 되면 삼국유사에 기록된 것처럼 신문왕이 이견대에서 동해의 문무왕릉을 참배한 뒤 만파식적을 얻은 다음 감은사로 가서 묵었다는 행적과도 일치된다. 그러므로 이곳이 이견대일 가능성은 매우 높아 보인다. 그리고 현재의 이견정 자리는 조선시대에 설치되었던 역원인 이견원(利見院)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칼럼의 핵심은 현재 이견대의 자리는 조선시대 역원인 이견원 자리인 것이다. 즉 이견대 내부에 걸려있는 <利見臺記>에 현재 자리가 기우단(祈雨壇)이나 역원(譯院)으로 쓰였던 곳이라고 기록한 배경을 술회한 것이다. 역원(驛院)조선 시대에 도성과 지방을 연결하던 교통 및 통신제도로써 도로로 연결된 중요한 곳에 역과 원을 설치해 왕명이 지방에 신속히 전달되도록 하여,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는 데 기여한 제도이다. 역(驛), 원(阮)은 30리(11km)마다 설치하여 중앙관청의 공문을 지방관청에 전달하는 등 공무를 집행하는 관리들의 숙소와 교통 편의(말 제공 및 교환)를 제공하는 곳으로 역과 원은 서로 밀접한 관련 하에 설치되기 때문에 흔히 역원이라 일컬었다

현재 이견대 맞은편 대본초등학교는 폐교가 되었고 학교 뒤편 길을 따라 뒷산을 올라보면 넓은 평지와 함께 묘가 여러 개 있고 이 중 한 묘의 묘비에는 이견대 5(1.5m) 주변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주변을 살펴보면 석축 흔적을 찾아 볼 수가 있고 마을에서는 뒷산을 뜸북재라고 부르는데 소로가 있어 감은사지는 물론이고 양북면 사무소까지 갈 수 있는 길이다. 여기서 문무대왕릉을 바라보면 동해의 절경에 한 폭의 그림 같다.

이견대 맞은편 폐교 된 대본초등학교 뒤편 길을 따라 뒷산을 올라가는 중 바라본 문무대왕릉
뒷산(뜸북재) 정상 초입
뒷산(뜸북재) 주변 축성의 흔적

 

뒷산(뜸북재) 정상을 올라보면 넓은 평지와 함께 묘가 여러 개 있다.
이 중 한 묘의 묘비에는 이견대 5자(약 1.5m) 주변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뒷산(뜸북재) 정상에서 문무대왕릉을 바라보면 동해의 절경에 한 폭의 그림 같다.

옛 문헌 중 이견대 관련 기록을 살펴보면 조선 중기 문신이자 학자이며 퇴계 성리학의 맥을 이은 간재(艮齋) 이덕홍(李德弘 : 1541~1596)은 농암 이현보의 증손으로 그의 경주(동경) 여행기인 동경유록(東京遊錄)에는

1587418일 신라시대 감은사 터이다. 동쪽 산 한 줄기는 곧장 바닷가로 달려와 한쪽 모퉁이에서 끊어지는데, 깎아지를 듯 서있는 바위는 높이가 십여 길이나 되었다. 그 위에 단청(丹靑)된 누각이 우뚝 솟아 있으니, 이른바 이견대(利見臺). 동헌에 앉아 둘러보니 파도가 하늘에 닿을 듯 드넓게 넘실거렸다. 또 남쪽 포구에 바위가 솟아 몰아치는 파도와 거센 물결 가운데 우뚝 하였으니, 이른바 대왕암이다.

상기 문헌의 기록으로 이견대 위치를 유추해 보면 평지에서 높은 위치에 있다는 것을 알 수 가 있어 뜸북재 민묘가 있는 주변이 이견대 위치로 합당하다고 여겨지고 현재 이견대(利見臺)는 이견원(利見阮)으로 공무를 띤 관리에게 숙식을 제공하기 위해 주요도로에 설치된 관청으로 판단된다.

양북면 봉길리에서 바라본 대본초등학교 뒷산(뜸북재) 모습

반응형
반응형

1990년 중반 문화유산답사가 유행하였고 모 출판사의 경주문화유적 안내책 표지에 장엄한 감은사지 삼층석탑으로 장식하였다. 이로 인해 감은사지와 추령고개 넘어 동해구(東海口)로 가는 왕의 길은 경주문화유산답사 방문객에게는 필수 방문코스가 되었다. 감은사지는 해발 240m의 나지막한 연대산(蓮臺山)에서 서남쪽을 향해 뻗은 지맥(支脈)용당산(龍堂山)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데, 대종천변(大鐘川邊)의 평지보다 9m정도 높은 지점에 있다. 그리고 절터가 위치한 마을은 속칭 탑곡(塔谷) 또는 탑동네로 부른다.

또한 풍수지리측면에서 살펴보면 대종천 하구에서 육지 쪽을 바라보면 마치 용이 바다를 향해 입을 벌리고 있는 형상으로 대종천(大鐘川) 양옆의 용당리, 봉길리 일대 산들이 용의 이빨에 해당되고 감은사지 삼층석탑 2기는 용의 이빨을 더욱 날카롭게 만들기 위한 어금니 또는 송곳니에 해당되니 신라 서라벌로 침입하려는 왜구를 막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대종천은 양북면 장항리 토함산에서 발원하여 감은사지를 지나 동해로 흘러가는 하천이다. 예전에는 봄이면 이곳 동해구에서 어린 뱀장어와 은어가 바다에서 대종천으로 올라왔었다. 대종천의 유래는 1238년(고려 고종 25)에 몽골군의 약탈로 황룡사 9층목탑 등이 완전히 불타 없어질 때, 몽골군이 49만근의 장항리 절터의 대종을 가져가려 배에 싣고 대종천에 띄우자 폭풍우가 불어 가라앉았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실제로 대종천과 관련된 조선시대 기록을 찾기 어렵다. 하천 이름이 처음으로 나오는 『대동지지』, 『동여도』, 『대동여지도』에는 동해천(東海川)으로 기록되어 있다. 동해천은 고유명사라기보다는 동해면에 있는 내라는 뜻이며, 일제강점기 시대에 들어 이 하천에 전해지는 전설을 따서 대종천이라 한 것으로 보인다.

 

하루속히 대종천을 원래 이름인 동해천으로 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제강점기 시대에 동해천을 대종천으로 바꾼 것은 식민사관의 일환으로 실행된 식민사학의 타율성론(반도사관), 지정학적으로 반도국가인 한국 역사는 대륙과 해양세력, 즉 중국과 일본에 의하여 좌지우지되었다는 사학으로 우리나라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친일잔재청산이 곧 일제 식민사관과 식민사학이다.

감은사지의 창건은 신라 30대 문무대왕이 왜구의 상륙지점인 동해구에 부처의 힘을 빌러 왜구를 막겠다는 뜻으로 국찰을 착공하였고 사찰이름은 진국사(鎭國寺)로 불렸으나 절의 완성을 보지 못하고 재위2156세에 세상을 떠났다. 진국은 진호국가의 준말로 왜구를 물리치려는 의미인 욕진왜병(欲鎭倭兵)의 뜻과 잘 맞는다.

이후 신라 31대 그의 아들 신문왕이 682년에 절을 완공하여 感恩寺(은혜를 느끼는 절, 또는 은혜에 감사하는 절)로 개명하였고 사명을 고친 이유는 대왕의 별세 후 동해구 바다에 장사 지냈기에 대왕의 은혜에 감축(感祝)하기 위함으로 추정된다. 또한 동해의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는 부왕의 명복을 비는 효심의 발로로 생각된다.

감은사지 선창장으로 신문왕이 감은사지에 오기 위해 서라벌에서 수레를 타고 출발하여 추령고개를 넘어 기림사에 도착하여 그곳에서 배를 타고 이곳까지 왔었다. 당시에는 대종천의 수위가 지금 보다 1m10cm 높았고 배를 이용하였다.

감은사지 관련 역사 문헌을 들여다보면 삼국유사 만파식적조(萬波息笛條) 기록에는 제31(31) 신문대왕(神文大王)의 휘()는 정명(政明)이며 성()은 김씨(金氏)로서 개요 원년(開耀 元年) 신사(辛巳) 七月七日에 즉위(卽位)하였고 아버지 문무대왕(文武大王)을 위하여 동해변(東海邊)에 감은사(感恩寺)를 창건(創建)하였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만파식적조하(萬波息笛條下)의 주()에 인용(引用)되어 있는 󰡔감은사 사중기(感恩寺 寺中記)󰡕에는 이렇게 적혀있다.

문무왕이 왜병을 진압하)려고 하여 이 사찰을 짓다가 마치지 못하고 붕어(崩御)하여 해룡(海龍)이 되었는데, 그 아들 신문왕(神文王)이 즉위하여 개요開耀 二年(唐 高宗 年號, A.D.682)에 공사를 마쳤다. 금당 밑의 섬돌을 파고 동쪽으로 향하도록 하나의 구멍을 내었으니 이 구멍으로 용이 금당으로 들어와 서리게 하였다. 대개 왕이 내린 유조(遺詔)로써 뼈를 묻은 곳을 大王岩이라 하였고, 절의 이름을 感恩寺라 하였다. 뒤에 용의 현형을 본 곳을 利見臺라 이름 지었다

또한 왕력조(王曆條)에는 제30대 문무왕이 신유년(辛酉年, A.D. 661)에 즉위하여 20년간 다스렸으며, ()은 감은사 앞 東海 中에 있다고 적혀있다

삼국사기 신라본기(新羅本紀) 문무왕 21년조(文武王21年條)에는 가을 71일 왕이 죽자 시호를 문무라 하고 군신(群臣)이 유언에 따라 동해구(東海口)의 대석(大石)위에 장사하였으며, 속전(俗傳)에는 왕이 변하여 용이 되었다하니, 이에 그 돌을 가리켜 대왕암(大王岩)이라 한다고 되어있다. 그리고 혜공왕(惠恭王) 12(A.D 777)과 경문왕(景文王 4(A.D 864)에는 각각 한 차례씩 왕이 직접 감은사로 행차하여 동해를 바라보았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그 외에 성덕대왕 신종에 보면, 역관(役官)의 직명에 해당하는 󰡔검교감은사사(檢校感恩寺使)󰡕라는 명문이 있다.

조선 초기 예종(睿宗) 때 편찬된 경상도속찬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志)에는 감은촌(感恩村) 혹은 감은리(感恩里라는 지명이 언급되어 있어서 이때에는 이미 감은사가 폐사(廢寺)되었던지, 아주 미미한 상태로 간신히 그 명맥만 유지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중기 성종(成宗) 때 편찬 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불우조(佛宇條)에는 감은사 부동오십리(感恩寺 府東五十里)’라는 기록이 있고 임진왜란 이후 경주부(慶州府)에서 간행 된 동경잡기(東京雜記) 불우조(佛宇條)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이때까지는 어떤 형태이든 감은사가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 정조초(正祖初)에 편찬된 󰡔범우고(梵宇攷)󰡕에 의하면 당시에 폐사(廢寺)가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 초기에 감은사가 반드시 폐사(廢寺)되었다기보다는 국가시책에 영향을 받아 지명화(地名化)한 기록으로 남길 수도 있었을 것이며, 존재의 미미함에 비추어 중요시하지 않은 까닭으로 불우(佛宇)로만 남겼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고대(古代)의 가람배치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된 것은 탑()이었다. 탑이 금당보다 높은 격에 있다는 것은 기단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지금까지 조사한 유적에서는 탑기단이 금당 기단보다 한 층씩 높게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같은 가람에서 금당이 단층기단(單層基壇)이면 탑은 이중기단(二重基壇)이고, 금당이 이중기단(二重基壇)이면 탑은 삼중기단(三重基壇)인 것이다.

초기(初期) 사찰(寺刹에서는 부처님의 사리(舍利)가 봉안되어 있던 탑이 예배의 주 대상이었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부처의 형상이 금당으로 옮겨지고 나서는 탑의 규모가 차츰 작아지고 양식도 약화되는 반면, 부처를 안치한 금당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웅장하고 커진 것으로 보인다. 감은사는 통일직후에 가람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초기에서 중기로 들어가는 과도기에 해당하므로 아직은 탑이 건물에 비하여 크게 쇠퇴하지는 않았던 것이다.

감은사지 배치도

우리나라 고대 사원의 가람배치(伽藍配置) 형식은 남쪽으로부터 중문(中門), (), 금당(金堂), 강당(講堂)의 순서로 남북 일직선상에 나란히 배치하는 단탑식 가람(單塔式 伽藍)과 금당 전면(金堂 前面)에 탑을 양쪽으로 배치하는 쌍탑식 가람(雙塔式 伽藍)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탑을 중심으로 3면에 금당을 배치하는 일탑삼금당식 가람(一塔三金堂式 伽藍, 분황사, 황룡사)이라는 특수한 형식도 있다. 또한, 미륵사지처럼 중문과 탑, 금당을 하나의 구역으로 하여 일원(一院)을 구획하고, 이렇게 구획된 3개소의 원을 횡으로 병렬한 삼원식 가람(三院式 伽藍)이라고 하는 매우 독특한 가람배치도 있다.

감은사의 가람배치는 금당 이탑(金堂 二塔)의 쌍탑식으로서 통일신라시대에 경주지방을 중심으로 성행하였던 가람배치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가람배치는 文武王 11(A.D.671)에 창건된 망덕사(望德寺)同王 19(A.D.679)에 창건된 사천왕사(四天王寺)가 그 始原이라 할 수 있으며, 그 이후에는 불국사, 천군리절터 등이 대표적인 유적에 속한다. 통일신라 초기에 세워진 망덕사와 사천왕사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木造 雙塔이 세워졌던 사찰로 알려져 있으며, 그 이후에 재료적으로 변형이 나타난 첫 번째 石造 雙塔이 바로 감은사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감은사지 삼층석탑은 기단부와 탑신부 등 각 부분이 한 개의 통돌이 아니라 수십 개에 이르는 부분 석재로 조립되었는데 모두 82점의 각종 석재로 이루어져 있어 목조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상하층기단 각 면에 우주와 탱주를 배치하고 탑신 모서리에 우주를 조각한 것과 옥개받침을 층급으로 표현하고 옥개 낙수면은 층급이 없는 경사를 이루고 있는 점, 전각에서 반전이 뚜렷한 점 등 목조건축양식을 모방한 것이다.

석탑의 재질은 화산재가 쌓여서 만들어진 응회암이고 二重基壇 밖에 탑구(塔區)를 돌려 三重基壇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여기서 塔區를 제외한 이중기단은 감은사 창건 이후의 한국 석탑에 있어서 하나의 규범(規範)을 이루는 전형(典型)을 보여주고 있다. 지표(地表)에서 노반(露盤)까지의 높이는 9.85m인데, 노반 위의 상륜뷰(相輪部)는 없어지고 3.49m 높이의 철제 찰주(鐵製 擦柱)만 남아 있다. 찰주의 높이까지 합하면(전체 높이 13m) 국내의 현존하는 탑 중에서 가장 큰 석탑이다.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감은사지 서 삼층석탑

금당은 정면 5, 측면 3. 기단은 2중 기단으로 되어 있고 초석 아래에는 특이한 석조유구(石造遺構)가 있어 건물바닥 밑에 일정한 높이의 공간을 두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다른 건물에서 보기 드문 구조이다. 이것은 문무왕이 화한 동해 大龍이 금당으로 들어 올 수 있도록 하였다는 寺中記의 내용과 일치한다.

금당터 초석 아래 석조유구(石造遺構)의 공간은 용이 절에 들어와서 돌아다닐 수 있도록 준비했다는 것인데 이것은 상징적인 龍穴이자 건축적으로 공기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는 일종의 환기장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금당터 초석 아래의 특이한 석조유구(石造遺構)의 공간은 三國遺事에 인용된 寺中記排金堂砌下東向開一穴, 乃龍之入寺旋統之備에서 金堂砌下(금당의 섬돌 아래)으로 향한 구멍을 한군데 열어 둠으로써 용이 절에 들어와서 돌아다닐 수 있도록 준비했다는 것인데 이것은 상징적인 龍穴이자 건축적으로 공기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는 일종의 환기장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금당이 이중기단으로 구성된 건물터를 살펴보면 고구려 지역에서는 평양 청암리 폐사지가 있으며, 백제 지역에서는 부소산성의 건물터와 절터, 금성산의 절터, 정림사터, 미륵사 금당터 등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신라 지역에서는 황룡사 금당터에서 그 예를 찾아 볼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주목할 것은 2점의 태극무늬 장대석으로 한 점은 1959년도 1차 발굴조사 시, 금당지 기단 동남모서리 전면에서 발견된 것이고, 다른 한 점은 1979~1980년도에 걸쳐 이루어진 2차 발굴조사 시, 곽외 남측 석축 앞 연못에서 출토된 것으로 용도는 內部 佛壇 周圍에 깔아 받친 地臺石으로 추정하는 견해와 금당의 용혈입구 구성 등에 사용된 석조부재로 추정하는 견해가 있다. 이견대의 명칭이 주역』의 비룡재천(飛龍在天) 이견대인(利見大人) 에서 취해졌던 것처럼, 감은사지 출토 장대석의 태극무늬 역시 주역에서 취해진 것으로 그 배경이 학계에서도 주목하고 있다.

태극무늬가 새겨진 장대석

중문은 정면 3, 측면 2칸의 건물. 3칸에 모두 문이 달려 있고 문과 연결되는 계단이 3칸 전 후면에 모두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문 앞 낭떠러지에는 중문으로 이어지는 큼직한 계단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강당은 정면 8, 측면 4칸 건물일 것으로 추정되고 강당 정면을 8칸의 등 간격으로 분할하는 것은 통일신라시대의 가람에서 강당에 흔히 사용된 기둥배치 방식으로 후대에는 정면 5, 측면 4칸으로 바뀐다.

강당좌우의 건물배치는 각각 독립된 건물을 배치하는 경우와 회랑을 배치하여 연결하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감은사지 강당은 좌우에는 별도의 독립된 건물을 배치하였다가 후대에 회랑형 건물로 바뀌었음을 확인되었으며 강당 좌우에 독립된 건물을 배치한 예는 황룡사터와 황룡사서편 폐사지에서 각각 확인되었다. 삼국시대에는 강당 양쪽에 독립된 건물이 배치되었다가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 회랑으로 연결되는 것인지, 아니면 가람의 평면이 정방형이나 정방형에 가까운 평면일 때는 독립된 건물이 배치되고, 남북으로 긴 장방형 평면일 때는 회랑으로 연결되는 것인지 정확히 알 수가 없다.

회랑은 동북 회랑이 모두 접속되어 있었으며, 익랑(翼廊)이 금당의 양쪽에 마련되어 있다. 즉 회랑안쪽 중심에 위치한 금당 양쪽에는 翼廊이 있다. 회랑(廻廊)은 남회랑, 동회랑, 서회랑, 동익랑, 서익랑 등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伽藍 南北中心線을 기준으로 東西로 나누었을 때, 각각 하나의 기단으로 처리된 2개소의 회랑으로 大別된다. , 동회랑을 비롯하여 중문 동쪽의 동남회랑, 금당 동쪽의 동익랑이 하나의 통합된 기단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쪽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동쪽이 F자를 180도 회전한 모양이고 서쪽은 F자의 아래위를 뒤집어 놓은 모양이 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남회랑은 중문 동서쪽으로 각각 10칸씩, 모두 20칸의 도리칸으로 되어 있으며, 동회랑과 서회랑은 남회랑과 접속되는 칸을 포함하여 각각 20칸의 도리칸인데, 南端으로부터 12칸째 도리칸에서 금당 좌우의 동서익랑이 직각으로 연결되어 각각 7칸의 도리칸으로 되어 있다翼廊은 금당 좌우에서 동회랑과 서회랑에 직각으로 이어지는 동서 방향으로 길게 놓인 회랑을 말하며, 일부에서는 中廻廊이라고도 한다.

감은사지를 답사를 하면 반드시 탑마을(동네) 뒷산인 용당산(龍堂山)에서 이견대까지 답사를 하여야 감은사지 답사가 마무리가 된다. 가는 길은 마을 뒤편에 난 소로를 따라 20분 정도 가면 용당산(龍堂山) 동편 끝자락을 맞이하게 되는데 여기서 문무대왕릉을 바라다보면 그 옛날 신문왕의 마음을 살펴 볼 수가 있다.

탑마을에 세워진 이견대 길안내 이정표
마을 뒤편에 난 소로를 따라 20분 정도 가면&nbsp;용당산(龍堂山) 동편 끝자락을 맞이하게 되는데 여기서 문무대왕릉을 바라다보면 그 옛날 신문왕의 마음을 살펴 볼 수가 있다.
이곳 마을에서는&nbsp;용당산(龍堂山) 동편 끝자락을 뜸북재로 부른다.

 

양북면 봉길와 대본리 사이 대종천을 건너게 하는 대본다리

 

멀리 보이는 동해의 문무대왕릉과 대종천

반응형
반응형

봉화산(烽火山)은 해발 132.6m로 온산읍 강양리 산 66번지에 위치한 나지막한 산이다. 강양마을에서 바라다보면 2개의 봉우리로 구성되어 있는데 북쪽 봉우리 아래는 저수지가 있어 낚시꾼이 가끔씩 찾고 있고 남쪽 봉우리에는  조선 전기에 축조 된 하산 봉수대(下山烽燧臺)가 있다.

특히 봉화산은 19744월부터 구리, 아연, 알루미늄 등 비철 금속 산업 육성을 위해 온산산업 기지개발 조성으로 정든 고향을 등져야했던 우봉마을, 당월마을 등 주민들이 떠나가는 모습과 환경오염에 의해 발생한 소위 한국판 이타이이타이병으로 알려진 공해병(公害病)인 온산병(溫山病)에 걸린 모습을 묵묵히 지켜보았을 것이다.

봉화산은 1974년 4월부터 구리, 아연, 알루미늄 등 비철 금속 산업 육성을 위해 온산산업 기지개발 조성으로 정든 고향을 등져야했던 우봉마을, 당월마을 등 주민들이 떠나가는 모습과 환경오염에 의해 발생한 소위 한국판 이타이이타이병으로 알려진 공해병(公害病)인 온산병(溫山病)에 걸린 모습을 묵묵히 지켜보았을 것이다.

우봉마을은 223세대 1,433명이 거주하였고 봉화산의 생김새가 소의 형상과 같다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복어잡이 어획량이 국내최고로 유명한 어촌마을이며 해안가의 거북바위가 유명하였다. 그리고 당월마을은 335세대 1,975명이 거주하였고 예전에는 당포마을로 불렸으며 상어잡이 유명한 어촌마을이였다.

하산봉수대에서 바라본 화학공업단지로 변한 우봉 및 당월마을
하산봉수대 가는 길에서 바라본 우봉마을 바닷가 모습.&nbsp;우봉마을은 223세대 1,433명이 거주하였고 봉화산의 생김새가 소의 형상과 같다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복어잡이 어획량이 국내최고로 유명한 어촌마을이며 해안가의 거북바위가 유명하였다.

강양(江陽)’은 회야강(回夜江) 어귀에 있는 햇볕이 잘 들어오는 마을이라는 뜻이기도 하고, 한문 표기에서 ()’은 산의 남쪽, 강의 북쪽을 뜻하므로 회야강의 북쪽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조선 전기에 봉화산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하산(下山)이라고 하였다. 조선 후기 정조(正祖) 때는 바다에서 볼 때 강()의 입구라서 강구(江口)라고 하였다.

하산 봉수대(下山烽燧臺)를 가기 위해서는 우봉리 바닷가 방향으로 봉화산 기슭에 위치한 금어사를 향하는 가파른 도로 따라 올라가서 도착한다. 그리고 사찰의 좌측 밭을 가로질러 오솔길을 따라 북서쪽으로 5분 정도 올라가면 하산 봉수대에 만날 수 있다. 유의할 것은 자동차를 몰고 오면 사찰 주차장이 마땅치 않아 도로변에 세워야한다.

하산 봉수대(下山烽燧臺)를 가기 위해서는 우봉리 바닷가 방향으로 봉화산 기슭에 위치한 금어사를 향하는 가파른 도로 따라 올라가서 도착한다. 그리고 사찰의 좌측 밭을 가로질러 오솔길을 따라 북서쪽으로 5분 정도 올라가면 하산 봉수대에 만날 수 있다. 유의할 것은 자동차를 몰고 오면 사찰 주차장이 마땅치 않아 도로변에 세워야한다.
봉화산은 낮은 해발에도 불구하고 수목이 아름답다. 하산 봉수대 가는 길은 그지 없이 아름답다.
금어사 주지 스님께서 매년 하산 봉수대(下山烽燧臺) 가는 길을 깔끔히 정리하신다.

 

금어사(金魚寺)는 주지 지월(智月)스님이 3년간 300만배를 수행한 사찰로 유명하다. 자정부터 새벽5시 까지 200배를 표시하는 바둑돌로 절한 숫자를 계산하며 하루 평균 2700배를 수행하였다. 지월스님이 속명은 김상봉으로 경남 진주 출신이다. 1980년 중반 폐결핵을 앓으며 부처님 가호로 물리친 뒤 불교를 만났고 1995년 부산 군수사령부 군무원으로 재직 중 지도법사를 수계, 1996년 구례 화엄사로 출가했으며 만나는 사람에게 세 번의 절을 하는 스님으로 유명했다. 이곳 우봉리에는 2001년 정착하여 금어사를 지었고 당시 미이주 40가구의 어린이 10명에게 수학, 영어 등 가르치는 등 선행을 실천하였다.

하산 봉수대는 부산 간비오 봉수(干飛烏烽燧)에서 시작된 봉화를 서울 목멱산[남산] 봉수로 전달하는 노선에 있는 다섯 번째 연변 봉수(沿邊烽燧)로써 문헌에 나타난 것은 1425년에 편찬된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부터이며, 이후 각종 지지서(地誌書)에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조선 전기에 축조되었고, 1895(고종 32) 전국 봉수 제도가 철폐되면서 폐지되었다. 경상도지리지에 울산군 소속의 하산 봉화(下山烽火)는 북쪽으로 가리 봉화(加里烽火)2317보의 거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금어사 주지 스님께서 매년 하산 봉수대(下山烽燧臺) 가는 길과 하산 봉수대 주변을 직접 낮으로 깨끗이 정리 하신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에는 울산군 소속의 하산 봉수는 군의 남쪽 50리에 소재하며 서쪽으로 이길곶 봉수(尒吉串烽燧), 동쪽으로 가리산 봉수(加里山烽燧)와 연결된다고 적혀 있다. 즉 남쪽의 울주군 서생면 나사리 이길 봉수(爾吉烽燧)에서 보내는 신호를 받아 북쪽의 남구 남화동의 가리 봉수(加里烽燧)로 보내는 역할을 하였다.

 

비교적 평탄한 산정에 남북장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현재 연대(煙臺)와 호() 등의 유구가 남아 있다. 불을 지폈던 연대의 아래는 방형(方形)으로, 위는 원형(圓形)으로 만들었다. 연대는 흙과 돌을 섞어 만들었으며, 남아 있는 높이는 3.5m 정도이다. 북동쪽이 무너져 정확한 둘레는 알기 어렵다. 'U'자형으로 판 방호벽은 북쪽에서만 뚜렷하게 확인되는데 너비가 5m 가량이다.

강양 해안길(강양 - 우봉)에서 바라 본 명선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