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운산(大雲山)은 울주군의 온양읍 운화리와 양산시 서창동에 걸쳐있는 산이다. 대운산과 장안사 주변 지도를 자세히 보면 박치골, 불광산 등 같은 명칭이 있다. 옛 문헌에 의하면 대운산의 원래 이름은 불광산(佛光山)이다. 즉 불광산 중심으로 여러 봉우리가 이룬 하나의 큰 산인데 언제 부터인가 일부 봉우리가 이름을 갖게 되었다.

등산 애호가들은 불광산, 시명산, 삼각산, 등과 연계한 산행을 한다. 이곳 주차장에서 출발하든가 아니면 장안사에서 출발하여 울주군과 기장군을 넘어간다, 특히 대운산 정상 주변은 철쭉이 유명하고 매년 대운산 철쭉제를 개최하는데 상대봉(668m)부터 대운산 정상까지 철쭉군락지를 이룬다.

대중 교통편을 이용하려면 동해남부선 남창역에서 내려서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는 상대마을 마을버스를 타면 된다.

대운산 산행 코스는 제2 공영주차장에서 출발하여 1(585m)2(668m)대운산 정상(742m)도통골(구룡폭포)3 공영주차장2 공영주차장로 내려오는 원점회귀 코스다. 총 소요 시간은 5시간 정도이다. 2공영주차장에서 도로를 따라 5분쯤 가다 오른쪽 운화리 성지 진입로로 접어들면서 산행은 시작된다.

운화리 성지(雲化里 城址)는 일명 대운산성으로 대운산 동쪽 지맥의 한 봉우리(270m)와 그 아래의 능선과 계곡을 성내로 포용하며 쌓은 포곡식 산성으로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운산 2봉에서 본 풍광

대운산에서 풍광은 2봉이 가장 훌륭하다. 2(668m) 정상에서 주위를 살펴보면 탁 트인 하늘과 공간 그리고 뛰어난 풍광이 피로를 잊게 한다. 그러나 대운산 정상에 도착하여 경관을 보면 주변 나무에 의해 볼 수가 없다.

대운산 정상 표지석

하산은 정상에서 안내표지판의 상대리 방향으로 내려간다. 하산 길은 만만치 않고 경사가 너무 급하다. 정상에서 장안사 방향이 무난할 것 같다.

원효 대사가 수도하며 도를 닦았다고 해서  '도통골'이라 불리는 계곡를 따라 내려오면 구룡폭포를 만난다. 아홉 마리의 용이 폭포 아래 소에서 살다가 여덟 마리는 승천했는데 나머지 한 마리는 결국 하늘에 오르지 못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곳이다. 물소리가 유난히 맑고 경쾌하다.

하산길에서 발바라 본 상대봉(668m)과 대운산 2봉

상대봉도통골을 지나면 박치골에서 내려오는 계곡수를 만난다. '울산 12경 내원암 계곡'이라고 할 때는 이들 좌우 계곡의 풍광과 경치를 일컫는데 계곡이 너무 아름다워 '2 소금강'으로 불리기도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불광산(佛光山)은 고을 남쪽 45리에 있다.”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읍지에도 같은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조선지형도에 대운산(大雲山)으로, 조선지지자료에도 대운산(大云山)이 외광동(外光洞)에 있는 것을 각각 기록하고 있다. 원래 이름인 불광산은 불이 부처를 뜻하는 불()이 아니라 도시를 뜻하는 로서 벌(), (), [], 부리(夫里) 등과 같이 음차로 보고 있다.

따라서 불광산은 밝은 성읍 터의 산으로 해석하고 있다. 불광산을 한자화하는 과정에서 대운산으로 변하였는데, ‘()’자 또한 높고 큰 산에 붙이는 이름이므로 밝은 산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온양읍(溫陽邑)은 울주군 남부에 위치한 읍으로 남창리, 대안리, 운화리 등 10개 리로 구성하고 있다. 온양은 이 지역이 예부터 온수(溫水)가 많이 나온 온천으로 인하여 부르게 된 지명이다. 신라 때는 공수현(公須縣)으로 부르던 곳이다. 운화리(雲化里)는 대운(大雲)과 태화(台化), 망양리(望陽里)는 망화(望化)와 산양(山陽), 동상리(東上里)는 동평(東坪)과 상서(上西)를 각각 통합하면서 형성된 지명이다.

반응형
반응형

황복사지 삼층석탑 (皇福寺址 三層石塔, 경주시 구황동 103번지)는 경주 낭산(狼山)의 북동편 기슭에 있는 석탑으로 마을 이름은 황복또는 탑거리이며 석탑은 마을 초입 좌측 밭 가운데 있다.

이 석탑은 신라 31대 신문왕이 사망 후 그 아들인 32대 효소왕이 아버지의 명복을 빌고자 효소왕 1(692)에 세운 탑으로, 이중기단에 높이 7.3m의 통일신라시대 전형적인 삼층석탑이다. 33대 성덕왕이 즉위 5(706)에 사리와 불상 등을 추가하여 탑 안에 넣어 앞의 두 왕의 명복을 빌고, 왕실의 번영과 태평성대를 기원하였다.

탑 서쪽은 산으로 막혀서 건물이 들어설 만한 공간이 없고 동편과 남편은 넓은 경작지와 마을이다. 지형으로 보아 장항리사지와 같이 탑을 서쪽에, 금당을 동쪽에 둔 소위 좌전우탑(左殿右塔) 가람배치로 추정된다. 탑 동남편에는 목이 잘리는 등 훼손이 심한 귀부 한 쌍이 나란히 남아 있는데 정확하지는 않으나 사적비를 세웠던 것으로 추정된다.

탑 동남편에는 목이 잘리는 등 훼손이 심한 귀부 한 쌍이 나란히 남아 있는데 정확하지는 않으나 사적비를 세웠던 것으로 추정된다.

20178월에 발굴 조사를 하였고 조사결과, 통일신라시대 십이지신상 기단 건물지, 대석단 기단 건물지와 부속 건물지 그리고 회랑 터, 담장 터, 배수로, 도로, 연못 등 신라왕실 사찰임을 확인할 수 있는 대규모의 유구를 발견했다.

이 절터가 황복사지(皇福寺址)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든 근거는 1937년경에 낭산 동쪽 기슭에서 일본인이 수집한 명문기와(銘文瓦)이다. 이 기와는 당시 부산에 거주하였던 일본사람이 수집하여 소장하였던 것으로 기와 뒷면에는 황복사(皇福寺)’  또는 왕복(王福)’이라는 명문이 음각(陰刻)되어 있었다.

황복사의 창건연대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삼국유사 제4권 의해(意解5 의상전교(義湘傳敎) 기록에 의하면, 화엄종의 개조인 의상대사(625~702)‘29세에 서울의 황복사로 가서 출가하였다고 되어 있다. 29세는 진덕여왕(眞德女王) 7(653)에 해당되어 황복사는 진덕여왕 때 또는 그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황복사지(皇福寺址)에는 목탑지로 볼 수 있는 유적은 없으나, 삼국유사 제4권 의해(意解) 5 의상전교(義湘傳敎) 기록을 보면 창건 당시 목탑이 세워졌을 가능성을 알려주는 내용이 있는데 의상대사가 중국으로 유학한 뒤 귀국하여 황복사에 있을 때 여러 스님들과 탑을 돌 때면 언제나 허공을 밟고 올라갔으며 층계를 밟지 않았으므로 그 탑에는 사닥다리가 없었다고 한다는 내용이다.

이때 의상대사의 나이는 46세로 문무왕 10(670)이다. 당시 신라 왕경에는 아직 석탑이 건립된 적이 없는 시대로 679년에 창건된 사천왕사와 692년의 망덕사에 목탑을 건립하였고 처음 완성되는 석탑은 682년의 감은사 삼층석탑이다. 이에 허공을 밟고 올라갔다는 탑은 목탑으로 추정된다.

7세기 중엽 황복사(皇福寺) 창건과 동시에 목탑이 세워졌으며, 효소왕 원년에 삼층석탑이 추가 건립된 것이다. 그 후 목탑은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사라졌고 석탑은 오늘날까지 남아 있게 된 것이다. 또는 익산왕궁리오층석탑과 같이 목탑이 화재로 소실된 후 그 자리에 석탑을 세웠을 가능성도 있다.

일제 강점기 때인 194264일부터 착수된 탑 해체수리 과정에서 2층 지붕돌 안에서 금동 사리함과 금동 불상 2구를 비롯하여 많은 유물을 발견하였다. 석탑에서 발견된 사리장치와 불상 등 일괄유물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그중 금동 사리함의 뚜껑내부에서 조탑명문(造塔銘文)을 확인되었는데 탑을 건립하게 된 경위와 발견된 유물의 성격이 기록되어 있어 탑의 건립 연대와 조성 의도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되었다.

명문에는 효소왕 원년(692)에 신문왕비인 신목태후와 그녀의 아들 효소왕과 함께 같은 해 72일에 돌아가신 신문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삼층석탑을 건립하였음을 기록되어 있다. 706년에는 성덕왕이 신목태후와 효소왕의 죽음을 슬퍼하여 부처 사리 4, 6촌 크기의 순금제 미타상 1, 무구정광대다리니경 1권을 석탑 내에 봉안하였음도 기록되어 있다.

 황복사지 삼층석탑 (皇福寺址 三層石塔)은 기단부가 이중기단으로 높이 7.3m의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삼층석탑으로 옥개(지붕)가 두꺼운 반면 옥개받침은 세밀하여 중후한 느낌을 준다.

기단부의 1(하층) 기단은 면석의 양쪽 모서리에 우주(隅柱)를 두고 가운데 탱주(撑柱) 2주로 구성하여 3()로 구분되어 있다. 감은사지삼층석탑에 비해 탱주가 1주가 줄어들었다. 갑석 위에는 2단의 호, 각형 받침(괴임)이 2층기단을 받치고 있다.

2(상층) 기단은 1층 기단처럼 면석의 양쪽 모서리에 우주(隅柱)를 두고 가운데 탱주(撑柱) 2주로 구성되어 있다. 면석은 각 면에 3매씩 하여 총 12개 면석이 사용되었고 갑석은 2단의 갑석에 4매가 사용되었다. 갑석 위에는 2단의 각형 받침(괴임)이 1층 탑신(몸돌)을 받치고 있다.

탑신부는 전체적으로 1층 탑신(몸돌)에 비해 2, 3층 탑신(몸돌)의 체감률이 급격히 떨어져있다탑신(몸돌)과 옥개(지붕)는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고 탑신의 각 면에는 우주만 모각되어 있고 문비 등 다른 조각은 없다. 옥개가 두꺼워서 낙수면의 경사는 급하게 되어있고 옥개의 네 귀퉁이는 살짝 올라가 경쾌하며, 옥개받침은 5단으로 되어 있다. 옥개의 전각 양면에는 풍령 등 장식을 달았던 작은 구멍이 1개씩 있다.

탑의 꼭대기인 상륜부에는 머리장식의 받침돌인 방형의 노반(露盤)만이 남아있고 노반 가운데에는 찰주공이 있다.

황복사지에서 발굴된 금동불입상과 금동보살입상(국립경주박물관)
금동불입상
금동보살입상

반응형
반응형

낭산 고분지 미완성 왕릉석재군은 황복사지 삼층석탑(皇福寺址 三層石塔) 동쪽에 위치하고 있어 황복사 초기 목탑지 혹은 신문왕릉, 성덕왕비릉(소덕왕후 김씨)) 또는 효성왕비릉(해명왕후 김씨), 민애왕릉 등으로 추정하였다.

황복사(皇福寺)삼국유사에 의하면 654(진덕여왕 8)에 의상(義湘)대사(625~702)29세에 출가한 곳으로, 1942년 황복사지 삼층석탑(국보 제37)을 해체 수리할 때 나온 사리함(舍利函)에서 확인된 명문 종묘성령선원가람(宗廟聖靈禪院伽藍’)을 통해 신라 왕실 사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낭산 고분지 발굴조사를 통하여 출토 된 유물은 막새, 기와, 전돌, 등잔 등 약 400여 점이다. 면석과 지대석 및 갑석과 같은 왕릉 석재 대부분은 경작으로 인해 원래 위치는 아니다.

이 왕릉 석재군은 당시 왕을 위하여 사전에 능침을 조영하기 위하여 준비를 하다가 어떠한 사유로 중지하고 왕릉을 설치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하대석이나 상대갑석으로 가공되어질 미완성 장대석 석재가 다수 확인되어 이를 뒤받쳐 주고 있다.

조사된 왕릉 석재의 곡률을 감안할 때 직경 약 22m, 둘레 60m의 규모로 복원되는데, 기존 왕릉의 규모를 통해 비교해 보면 35대 경덕왕릉(765)과 비슷하고, 갑석의 가공기법 또한 경덕왕릉과 유사하기 때문에 추정 왕릉지의 조성 시기는 그 전·후로 추정된다.

이에 왕릉 석재의 출토 양상, 개별 석재의 가공기법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볼 때 추정 왕릉지는 33대 성덕왕의 둘째 아들이자 35대 경덕왕의 형인 34대 효성왕(孝成王, 742)의 미완성 왕릉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효성왕은 그의 유언대로 관을 법류사 남쪽에서 화장하여 동해에 산골하였다는 기록과 5년간 짧은 재위기간을 고려해 보면 병석病席에 있을 때 능침을 사전에 준비하다가 왕이 유언으로 화장을 택하자 왕릉의 석물은 방치되어 오다가 후대에 자연스럽게 황복사 금당의 면석, 건물지의 담장 및 기단석 등으로 재사용되었는 것으로 판단된다.

왕릉의 조성은 서쪽에 위치한 너비 약 18m 정도의 대형 도로를 사용하여 석재를 산지에서 운반한 뒤 가공하였으며, 가공에서 나온 박편 등은 도로 부재로 재사용하고 있어 신라 왕릉의 석재 가공이 현장에서 직접 이루어졌음을 확인되었다.

또한 왕릉지로 추정되는 동북쪽은 담장과 석렬을 이용하여 별도 공간을 마련한 다음 서쪽에 대형 건물지와 담장, 회랑 등을 배치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 통일신라 왕릉 능원제도에 있어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분황사(芬皇寺)는 신라 27대 선덕여왕 3(634)에 창건한 신라시대 초기 사찰로서 창건 이래 지금까지 법등이 이어지고 있는 사찰로써  백률사, 불국사, 기림사 정도이며 신라의 승려 자장(慈藏)과 원효(元曉)가 머무르면서 불법을 전파하였던 유서 깊은 사찰이다.

전불시대 칠처가람(前佛時代 七處伽藍 : 흥륜사, 영흥사, 황룡사, 분황사, 영묘사, 천왕사, 담암사) 중의 하나로 용궁 북 분황사(龍宮 北 芬皇寺)라고 불렀으며, 국가차원의 절로 왕실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중요한 절이다. 전불시대 칠처 가람은, 석가모니불 이전의 부처님인 가섭불 시대에 신라 수도 서라벌에 만들어진 일곱 절터에 다시 지은 절을 말하는데, 신라가 인도보다 불교와의 인연이 깊다는 자주적인 종교관이다.

팔각석정(八角石井)과 보광전(普光殿)

분황사의 전각은 세 번의 중건을 하였다. 현재 중심 전각은 보광전(普光殿)으로 팔작지붕에 정면3, 측면2칸의 주심포양식의 법당으로 광해군 원년(1609)에 조성하였다. 지금 절 모습은 정유재란 이후 계속 유지된 곳으로 추정된다.

보광전(普光殿)은 팔작지붕에 정면3칸, 측면2칸의 주심포양식의 법당으로 광해군 원년(1609)에 조성하였다.

보광전 안에는 금동약사여래입상(金銅藥師如來立像)있는데 조선 후기 17세기 금동불입상으로 유일하고 규모가 가장 크다. 1998년 분황사 보광전 해체 수리과정 중 중도리 바닥에서 발견 된 1616년 「분황사상량기(芬皇寺上樑記)」 와 종도리에서 1680년 「부동명활성하분황사중창문(府東明活城下分皇寺重創文)」 묵서(墨書)가 발견되어 이 약사여래입상이 1609년 5,360근의 동을 모아 제작한 불상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17세기 전반에 제작된 대형 불상이 대부분 소조(塑造, 진흙)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매우 희귀한 사례에 속한다. 경주 분황사 금동약사여래입상은 규모가 커 우람한 형태미를 보이고 있지만, 이와 달리 둥글고 통통한 얼굴에 어깨가 왜소해 전반적으로 동안(童顔)의 형태미를 보여준다. 특히 아이처럼 앳돼 보이는 이목구비는 16세기 불상 양식이, 가슴과 복부가 길쭉한 비례감과 세부 주름 등 신체 표현은 17세기 양식이 엿보인다는 점에서 신ㆍ구 양식이 공존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삼국유사 탑상(塔像) 4 황룡사(皇龍寺)의 종, 분황사(芬皇寺)의 약사(藥師), 봉덕사(奉德寺)의 종 기록에 따르면 신라 35대 경덕대왕(景德大王)이 천보(天寶) 13년 갑오(甲午; 754)에 황룡사(皇龍寺)의 종을 주조했는데, 또 이듬해 을미(乙未; 755)에 분황사(芬皇寺)의 약사여래불(藥師如來佛)의 동상(銅像)을 만들었는데, 무게가 306,700 근이요, 공장이는 본피부(本彼部) 강고내말(强古乃未)이었다.이에 의거하여 분황사에는 신라 최대 불상인 약사여래동상(45m)을 만들었고 황룡사 장육존상(5m)9배 이었으나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다.

분황사에는 신라시대 때 호국용이 살았다는 팔각석정(八角石井)이라는 우물이 있는데 틀의 높이는 약 70cm이고 외부모양은 팔각이며 내부는 원형이다. 이것은 불교의 팔정도와 원융의 진리를 뜻한다. 남아 있는 통일신라시대 돌우물 가운데 가장 크고 우수하다.

삼룡변어정(三龍變魚井) 또는 호국용변어정(護國龍變魚井)이라고 일컫는 팔각석정(八角石井)

원성왕 11년 하서국(河西國) 사신이 세 마리의 용(東池, 靑池, 분황사 우물의 護國龍)을 물고기로 변하게 해서 자기나라로 가지고 가려 했어 삼룡변어정(三龍變魚井), 또는 호국용변어정(護國龍變魚井)이라고 부른다조선시대 때 분황사에 있는 모든 돌부처의 목을 잘라 이곳에 넣었다고 한다. 숭유억불 정책으로 인한 한 행태이다. 현재는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팔각석정(八角石井) 옆에는 고려 19대 명종(1170~1197) 원효대사를 기리기 위해 한문준이 건립한 화쟁국사비(國帥碑)가 있었으나 현재 차화쟁국사지비적(此和諍國師之碑跡)이라는 추사 김정희 선생의 친필이 새겨진 비석 받침만이 남아 있다. 화쟁국사(國帥)고려 명종이 원효대사에게 내린 시호(諡號)이다.

화쟁국사비(和諍國帥碑) 받침
화쟁국사비(和諍國帥碑) 받침 옆면에는 옅은 안상(眼象)을 새겼다.

낮은 직육면체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네 모서리가 떨어져 나가 많이 훼손되었다. 윗면에는 비를 꽂아두기 위한 홈이 파 놓았고, 옆면에는 옅은 안상(眼象)을 새겼다. 비는 임진왜란 후까지도 보존되었으나, 어느 때부터 파손되어 오랫동안 방치되어 오다가 김정희가 절 근처에서 발견하여 이를 확인하는 글귀를 받침돌에 새겨두었다. 비의 위치는 원래 자리가 아니다.

차화쟁국사지비적(此和諍國師之碑跡)이라는 추사 김정희 선생의 친필이 새겨진 글자는 마모가 심해서 식별이 어렵다.

그리고 신라 고승 원효 대사가 상당 기간 머물렀던 곳으로 아들 설총이 원효의 유해로 소상(塑像)을 만들고 예배하니 돌아봤다는 원효의 고상(顧像)이 고려 말까지 안치되어 있었다고 한다.
또 신라 경덕왕 때 여자 희명(希明)의 아이가 다섯 살 때 갑자기 눈이 멀게 되자 분황사 좌전 북쪽 벽에 신라의 화성(畵聖) 솔거(率居)가 그린 천수천안관음보살 앞에서 이 아이를 안고 '도천수대비가 (禱千手大悲歌)' 라는 향가를 가르쳐주고 노래를 부르며 빌게 했더니 눈을 뜨게 되었다고 한다.

분황사에 대한 발굴조사는 1~ 5(19901995), 6(20009221230)에 걸쳐 시행하였고 15차 조사에는 字形일탑삼금당식(一塔三金當式) 가람 배치와 3회에 걸친 금당 변천과정, 회랑지, 석등지 등 다수의 유구를 확인하였다. 6차에는 현재 분황사 외곽담장 동편(황룡사지 전시관부지와 분황사 사이)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출토유물이 378점이며 기와 및 전돌이 338점으로 가장 많고 토기 및 자기류가 22점이며 청동제 이형장식구 등 금속류가 12, 굽은 옥 등 기타 종류가 6점이다.

분황사 가람배치는 고구려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자형 가람배치 즉 일탑삼금당식(一塔三金當式) 가람 배치중 금당, 동 금당, 서 금당이 탑을 향하며 동서 금당이 탑을 마주보고 있는 배치이다. 금당이 창건 이후 최소한 같은 자리에서 3회에 걸쳐 확대 또는 축소되면서 절의 방향도 남향에서 서향으로 바뀌어 진 것이다.

삼국유사 탑상(塔像) 4 분황사 천수대비(芬皇寺千手大悲) 맹아득안(盲兒得眼) 기록에 따르면 경덕왕(景德王) 때에 한기리(漢岐里)에 사는 희명(希明)이라는 여자의 아이가, 난지 5년 만에 갑자기 눈이 멀었다. 어느 날 어머니는 이 아이를 안고 분황사(芬皇寺) 좌전(左殿) 북쪽 벽에 그린 천수관음(千手觀音) 앞에 나가서 아이를 시켜 노래를 지어 빌게 했더니 멀었던 눈이 드디어 떠졌다.여기에 左殿이란 右殿에 대응하는 것으로 경덕왕(A.D.742765) 때는 좌우전을 비롯한 일탑삼금당식(一塔三金當式) 가람배치인 것이다.

일탑삼금당식(一塔三金當式)에서 일탑일법당식(一塔一金當式) 가람배치로 변하는 시기는 경덕왕 14(755)신라 최대 불상인 분황사 약사여래동상(45m)을 만든 후 이를 모시기 위해서 3법당을 하나의 법당으로 통합하여 중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2차 중건과 3차 중건이 이루어지는데, 법당의 방향도 처음 남향에서 서향으로 바뀌었고 바뀐 이유는 알 수 없다. 3차 중건은 정유재란 뒤에 이루어진 것이다.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올린 모전석탑(模塼石塔)은 선덕여왕 때인 634년 창건 때 세운 것으로 신라 석탑 가운데 가장 오래된 석탑이다. 1915년 일본인들이 해체 수리했으며 현재의 상태는 이때에 복원된 것이다. 이 탑은 한국 전탑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현재 탑신부는 3층만 남아 있으며 벽돌 같은 돌은 회흑색의 안산암이다.

1915년 수리당시 2층과 3층 사이에서 석함(石函)속에 장치되었던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고, 각종 옥류와 패류, , 은제 바늘과 침통, 가위 등과 함께 고려시대에 사용하였던 숭녕통보상평오수등이 출토되어 고려시대에 보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석탑의 높이는 탑재들을 종합하여 분석 한 결과 원래는 9층임이 확인되었다동경잡기(東京雜記)에도 9층이었으나 임진왜란 때 왜병에 의하여 허물어지고 그 뒤 이를 개축하려다 또 허물어졌다고 한다.
1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쌓아올린 것으로 기단은 벽돌이 아닌 자연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네 모퉁이마다 화강암으로 조각된 사자상이 한 마리씩 앉아있는데 내륙 방향에 있는 2마리는 사자상이고 동해 방향에 있는 2마리는 물개라고 전해지고 있다.

내륙 방향에 있는 사자상

확실하지 않으나 원래는 6마리의 석사자가 있었다고 한다. 국립경주박물관 입구에서 좌측정원에 2구가 있는데 규모가 작은 편이며 형태도 지금의 4마리 사자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시기가 언제인지 모르지만 헌덕왕릉으로 부터 옮겨온 것으로 보고 있다.

국립경주박물관 내 석사자
동해 방향에 있는 물개

회흑색 안산암을 작게 벽돌모양으로 잘라 쌓아올린 탑신은 거대한 1층 몸돌에 비해 2층부터는 현저하게 줄어드는 모습이다. 1층 몸돌에는 네 면마다 감실이 있고 문을 만들었고, 그 양쪽에 인왕상(仁王像)을 조각해 놓았는데 현존하는 인왕상(仁王像) 가운데 조성시기가 가장 빠른 것으로 7세기 중엽 신라의 통일 이전에 완성되었다.

북쪽 인왕상
동쪽 인왕상

인왕상(仁王像)이 모두 무기를 들지 않고 권법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6구의 상이 X자형의 천의를 입고 있는 古代인왕상(仁王像)으X자형의 천의는 북위시대 양식이다. 그러나 천의 밑으로 드러나는 근육의 표현과 볼륨 있는 양감의 표현, 어린이 같은 신체의 비례는 北齊. 의 양식이다.

남쪽 인왕상
서쪽 인왕상

지금 감실 안에는 머리가 없는 불상을 안치하고 있으나, 원래 그 자리에 있었던 것은 아니며 후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지붕돌은 아래, 윗면 모두 계단 모양의 층을 이루고 있는데, 3층 지붕돌만은 윗면이 네 모서리에서 위쪽으로 둥글게 솟은 모양이며, 그 위로 화강암으로 만든 활짝 핀 연꽃장식이 놓여 있다.

삼국유사 기이(紀異) 2 원성대왕(元聖大王)
왕이 즉위한 지 11년 을해(乙亥; 795)에 당()나라 사자가 서울에 와서 한 달을 머물러 있다가 돌아갔는데, 하루 뒤에 두 여자가 내정(內廷)에 나와서 아뢴다.
저희들은 동지(東池)청지(靑池; 청지靑池는 곧 동천사東泉寺의 샘이다. 절에 있는 기록을 보면 이 샘은 동해東海의 용이 왕래하면서 불법佛法을 듣던 곳이요 절은 진평왕眞平王이 지은 것으로서 오백五百 성중聖衆과 오층탑五層塔과 전민田民까지 함께 헌납했다고 했다)에 있는 두 용()의 아내입니다.

그런데 당나라 사자가 하서국(河西國) 사람들을 데리고 와서 우리 남편인 두 용()분황사(芬皇寺) 우물에 있는 용까지 모두 세 용의 모습을 바꾸어 작은 고기로 변하게 해서 통 속에 넣어 가지고 돌아갔습니다바라옵건대 폐하께서는 그 두 사람에게 명령하여 우리 남편들인 나라를 지키는 용을 여기에 머무르게 해 주십시오.”

왕은 하양관(河陽館)까지 쫓아가서 친히 연회를 열고 하서국 사람들에게 명령했다. “너희들은 어찌해서 우리나라의 세용을 잡아 여기까지 왔느냐. 만일 사실대로 고하지 않으면 반드시 사형(死刑)에 처할 것이다.” 그제야 하서국 사람들이 고기 세 마리를 내어 바치므로 세 곳에 놓아 주자, 각각 물속에서 한 길이나 뛰고 기뻐하면서 가 버렸다. 이에 당나라 사람들은 왕의 명철(明哲)함에 감복했다.

삼국유사 의해(意解) 5 원효불기(元曉不羈)
성사(聖師) 원효(元曉)의 속성(俗姓)은 설씨(薛氏)이다. 조부는 잉피공(仍皮公) 또는 적대공(赤大公)이라고도 하는데 지금 적대연(赤大淵) 옆에 잉피공의 사당이 있다. 아버지는 담날내말(談捺乃末)이다. 원효는 처음에 압량군(押梁郡)의 남쪽(지금의 장산군章山郡) 불지촌(佛地村) 북쪽 율곡(栗谷)의 사라수(裟羅樹)밑에서 태어났다. 그 마을의 이름은 불지(佛地)인데 혹은 발지촌(發智村; 속언俗言에 불등을촌弗等乙村이라 한다)이라고도 한다.

사라수란 것을 속언에 이렇게 말한다. “스님의 집이 본래 이 골짜기 서남쪽에 있었다. 그 어머니가 태기가 있어 이미 만삭인데, 마침 이 골짜기에 있는 밤나무 밑을 지나다가 갑자기 해산하였으므로 몹시 급한 때문에 집에 돌아가지 못하고 남편의 옷을 나무에 걸고 그 속에서 지냈기 때문에 이 나무를 사라수라 했다.” 그 나무의 열매가 또한 이상하여 지금도 사라율(裟羅栗)이라 한다.

예로부터 전하기를, 옛적에 절을 주관하는 자가 절의 종 한 사람에게 하루 저녁 끼니로 밤 두 알씩을 주었다. 종이 적다고 관청에 호소하자 관리는 괴상히 여겨 그 밤을 가져다가 조사해 보았더니 한 알이 바리 하나에 가득 차므로 도리어 한 알씩만 주라고 판결했다. 이런 이유로 율곡(栗谷)이라고 했다.

스님은 이미 중이 되자 그 집을 희사(喜捨)해서 절로 삼고 이름을 초개사(初開寺)라고 했다. 또 사라수 곁에 절을 세우고 사라사(裟羅寺)라고 했다. 스님의 행장(行狀)에는 서울 사람이라고 했으나 이것은 조부가 살던 곳을 따른 것이고, <당승전(唐僧傳)>에는 본래 하상주(下湘州) 사람이라고 했다.

상고해 보건대, 인덕(麟德) 2년 사이에 문무왕(文武王)이 상주(上州)와 하주(下州)의 땅을 나누어 삽량주(歃良州)를 두었는데 하주는 곧 지금의 창령군(昌寧郡)이요, 압량군(押梁郡)은 본래 하주의 속현(屬縣)이다. 상주는 지금의 상주(尙州)이니 상주(湘州)라고도 한다. 불지촌은 지금 자인현(慈仁縣)에 속해 있으니, 바로 압량군에서 나뉜 곳이다. 스님의 아명(兒名)은 서당(誓幢)이요또 한 가지 이름은 신당(新幢; 은 우리말로 모라고 한다)이다.

석조

처음에 어머니 꿈에 유성(流星)이 품속으로 들어오더니 이내 태기가 있었으며, 장차 해산하려 할 때는 오색구름이 땅을 덮었으니, 진평왕(眞平王) 39년 대업(大業) 13년 정축(丁丑; 617)이었다. 나면서부터 총명하고 남보다 뛰어나서 스승을 따라 배울 것이 없었다. 그의 유방(遊方)의 시말(始末)과 불교를 널리 편 큰 업적들은 <당승전(唐僧傳)>과 그의 행장에 자세히 실려 있으므로 여기에는 모두 싣지 않고 오직 향전(鄕傳)에 있는 한두 가지 이상한 일만을 기록한다.

스님이 일찍이 어느 날 풍전(風顚)을 하여 거리에서 다음과 같이 노래를 불렀다.
 누가 자루 없는 도끼를 내게 빌리겠는가.
나는 하늘 떠받칠 기둥을 찍으리.

석등 하대석

사람들이 아무도 그 노래의 뜻을 알지 못했다. 이때 태종(太宗)이 이 노래를 듣고 말했다. “이 스님은 필경 귀부인(貴婦人)을 얻어서 귀한 아들을 낳고자 하는구나. 나라에 큰 현인(賢人)이 있으면 이보다 더 좋은 일이 없을 것이다.”이때 요석궁(瑤石宮; 지금의 학원學院이 이것이다)에 과부 공주(公主)가 있었는데 왕이 궁리(宮吏)에게 명하여 원효(元曉)를 찾아 데려가라 했다. 궁리가 명령을 받들어 원효를 찾으니, 그는 이미 남산(南山)에서 내려와 문천교(蚊川橋; 사천沙川이니 사천沙川을 속담에는 모천牟川, 또는 문천蚊川이라 한다. 또 다리 이름을 유교楡橋라 한다)를 지나다가 만났다.

이때 원효는 일부러 물에 빠져서 옷을 적셨다. 궁리가 원효를 궁에 데리고 가서 옷을 말리고 그곳에 쉬게 했다. 공주는 과연 태기가 있더니 설총(薛聰)을 낳았다. 설총은 나면서부터 지혜롭고 민첩하여 경서(經書)와 역사에 널리 통달하니 신라 10() 중의 한 사람이다. 방언(方言)으로 중국과 외이(外夷)의 각 지방 풍속과 물건 이름 등에도 통달하여 육경(六經)과 문학(文學)을 훈해(訓解)했으니, 지금도 우리나라에서 명경(明經)을 업()으로 하는 사람이 이를 전수(傳受)해서 끊이지 않는다.

원효는 이미 계()를 잃어 총()을 낳은 후로는 속인(俗人)의 옷으로 바꾸어 입고 스스로 소성거사(小姓居士)라고 이름했다. 그는 우연히 광대들이 가지고 노는 큰 박을 얻었는데 그 모양이 괴상했다. 원효는 그 모양을 따라서 도구(道具)를 만들어 <화엄경(華嚴經)> 속에 말한, “일체의 무애인(無㝵人)은 한결같이 죽고 사는 것을 벗어난다.” 는 문구를 따서 이름을 무애(無㝵)라 하고 계속하여 노래를 지어 세상에 퍼뜨렸다.

기둥 초석

어느 날 이 도구를 가지고 수많은 마을에서 노래하고 춤추면서 교화(敎化)시키고 읊다가 돌아오니, 이 때문에 상추분유(桑樞瓰牖) 확후(玃候)의 무리들로 하여금 모두 부처의 이름을 알고,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陁佛)을 부르게 하였으니 원효(元曉)의 교화야말로 참으로 컸다 할 것이다. 그가 탄생한 마을 이름을 불지촌(佛地村)이라 하고, 절 이름을 초개사(初開寺)라 하였으며 스스로 원효라 한 것은 모두 불교를 처음 빛나게 했다는 이다. 원효도 역시 방언이니, 당시 사람들은 모두 향언(鄕言)의 새벽이라고 했다.

그는 일찍이 분황사(芬皇寺)에 살면서 <화엄경소(華嚴經疏)>를 지었는데, 4권 십회향품(十廻向品)에 이르러 마침내 붓을 그쳤다. 또 일찍이 송사(訟事)로 인해서 몸을 백송(百松)으로 나눴으므로 모든 사람들이 이를 위계(位階)의 초지(初地)라고 말했다. 또한 바다용의 권유로 해서 노상에서 조서(詔書)를 받아 <삼매경소(三昧經疏)>를 지었는데, 붓과 벼루를 소의 두 뿔 위에 놓았으므로 각승(角乘)이라 했다. 이것은 또한 본시이각(本始二覺)이 숨어 있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대안법사(大安法師)가 이것을 헤치고 와서 종이를 붙였는데 이것은 또한 지음(知音)하여 서로 창화(唱和)한 것이다.

그가 세상을 떠나자 아들 총이 그 유해(遺骸)를 부수어 소상(塑像)으로 진용(眞容)을 만들어 분황사에 모시고, 공경하고 사모하여 종천(終天)의 뜻을 표했다. 설총이 그때 곁에서 예배하자 소상이 갑자기 돌아다보았는데, 지금까지도 돌아다본 그대로 있다. 원효가 일찍이 살던 혈사(穴寺) 옆에 설총이 살던 집터가 있다고 한다.
()해 말한다.

각승(角乘)은 처음으로 <삼매경(三昧境)>의 축()을 열었고,
무호(舞壺)는 마침내 1만 거리 바람에 걸었네.
달 밝은 요석궁(瑤石宮)에 봄 잠 깊더니,
문 닫힌 분황사(芬皇寺)엔 돌아다보는 소상(塑像)만 비었네.

삼국유사 감통(感通) 7 광덕(廣德)과 엄장(嚴莊)
문무왕(文武王) 때에 중 광덕(廣德)과 엄장(嚴莊)이 있었는데, 두 사람은 서로 사이가 좋아 밤낮으로 약속했다. “먼저 안양(安養)으로 돌아가는 자는 모름지기 서로 알리도록 하지.” 광덕은 분황(芬皇) 서리(西里; 혹은 황룡사皇龍寺에 서거방西去方이 있다고 하니 어느 것이 옳은지 모르겠다)에 숨어 살면서 신 삼은 것으로 업을 삼아, 처자를 데리고 살았다. 엄장은 남악(南岳)에 암자를 짓고 살면서 나무를 베어 불태우고 농사를 지었다.

어느 날 해 그림자가 붉은빛을 띠고 소나무 그늘이 고요히 저물었는데, 창밖에서 소리가 났다. “나는 이미 서쪽으로 가니 그대는 잘 살다가 속히 나를 따라오라.” 엄장이 문을 밀치고 나가 보니 구름 밖에 천악(天樂) 소리가 들리고 밝은 빛이 땅에 드리웠다. 이튿날 광덕이 사는 곳을 찾아갔더니 광덕은 과연 죽어 있다.

석등 하대석

이에 그의 아내와 함께 유해를 거두어 호리(蒿里)를 마치고 부인에게 말했다. “남편이 죽었으니 나와 함께 는 것이 어떻겠소.” 광덕의 아내도 좋다고 하고 드디어 그 집에 머물렀다. 밤에 자는데 관계하려 하자 부인은 이를 거절한다. “스님께서 서방정토(西方淨土)를 구하는 것은 마치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엄장이 놀라고 괴이히 여겨 물었다. “광덕도 이미 그러했거니 내 또한 어찌 안 되겠는가.”

부인은 말했다. “남편은 나와 함께 십여 년을 같이 살았지만 일찍이 하룻밤도 자리를 함께 하지 않았거늘, 더구나 어찌 몸을 더럽히겠습니까. 다만 밤마다 단정히 앉아서 한결같은 목소리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불렀습니다. 또 혹은 십륙관(十六觀)을 만들어 미혹(迷惑)을 깨치고 달관(達觀)하여 밝은 달이 창에 비치면 때때로 그 빛에 올라 가부좌(跏趺坐)하였습니다.

기둥 초석

정성을 기울임이 이와 같았으니 비록 서방정토(西方淨土)로 가지 않으려고 한들 어디로 가겠습니까. 대체로 천릿길을 가는 사람은 그 첫걸음부터 알 수가 있는 것이니, 지금 스님의 하는 일은 동방으로 가는 것이지 서방으로 간다고는 할 수 없는 일입니다.” 엄장은 이 말을 듣고 부끄러워 물러나 그 길로 원효법사(元曉法師)의 처소로 가서 진요(津要)를 간곡하게 구했다.
원효는 삽관법(鍤觀法)을 만들어 그를 지도했다. 엄장은 이에 몸을 깨끗이 하고 잘못을 뉘우쳐 스스로 꾸짖고, 한 마음으로 도를 닦으니 역시 서방정토로 가게 되었다. 삽관법은 원효법사의 본전(本傳)<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속에 있다.

그 부인은 바로 분황사의 계집종이니, 대개 관음보살 십구응신(十九應身)의 하나였다. 광덕에게는 일찍이 노래가 있었다.
달아, 서방까지 가시나이까,
무량수불(無量壽佛) 앞에 말씀아뢰소서.
다짐 깊은 부처님께 두 손 모아,
원왕생(願往生) 그리워하는 사람 있다고 아뢰소서.
아아, 이 몸 남겨 두고 사십팔원(四十八願)이 이루어질까.

석재 파편들

 경주 황룡사지 일대를 구황동이라 부른다. 일설에는 황룡사의 구층탑을 줄여서 구황동이라고도 한다. 또 황룡사, 분황사, 황복사 등 '' 자가 들어가는 절이 아홉 개가 있었다고 해서 구황동이라고도 하고, 또는 진흥왕 때 황룡사터에 신궁을 지으려고 하는데 아홉 마리의 황룡이 나타나 승천하므로 궁궐 대신 절을 세우고 구황동이라 했다고도 한다.

 

반응형
반응형

사찰에 의례, 행사가 열릴 때 깃발을 달아 알리는데, 깃발을 당(), 깃대를 당간(幢竿), 긴 당간이 흔들리지 않게 지탱해주는 지지대를 당간지주幢竿支柱)라 한다. 일반적으로 사찰의 입구에 세워진다.

분황사 당간지주(芬皇寺 幢竿支柱)는 분황사 입구 남쪽 50m지점에 세워져 있다. 황룡사지 당간지주(幢竿支柱)는 입구 쪽에 파손되었지만 당간지주가 있어 현재 분황사 가람의 규모가 상당히 축소된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분황사 당간지주(芬皇寺 幢竿支柱)로 판단된다.

양 기둥에는 상··3곳에 지름 15cm의 구멍[杆孔]이 있고, 두 기둥 사이에 당간을 견고하게 받치기 위한 당간받침돌(간대석 : 竿臺石)이 남아 있는데, 귀부형 간대석으로 거북 모양을 새겨 독특하다.

귀부형 간대석 상면에는 사각형 좌대를 마련하여 앞뒤로 연화문을 장식하였다. 그리고 좌대 한가운데에는 작은 사각형을 오목하게 시공하였으며, 한쪽 방향으로는 물이 빠져나가도록 좁게 낙수 홈이 시설되어 있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당간 하부의 평면 형태는 사각형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귀부형 간대석에서 귀두의 방향은 당간지주의 방향과 함께 사찰로의 진입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

신라와 고려시대의 당간과 당간지주에서 다양한 유형의 간대석이 마련되는데,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처럼 귀부형 간대석을 구비한 경우는 유일하다.

당간지주의 전체적인 형태는 평면 사각 석주형인데, 상부로 올라가면서 조금씩 좁아지도록 하였다. 당간지주의 바깥 면은 지면에서 148cm 정도 되는 높이까지 1단 높게 하였으며, 바깥면의 좌우 측 모서리를 4cm 정도의 너비로 모죽임 하였다.

또한 당간지주의 정상부는 안쪽 면에서 바깥 면으로 나가면서 부드럽게 호형을 하였다. 당간은 당간지주의 안쪽 면에서 바깥 면으로 관통하는 원형 간공(지름 15cm)을 상중하 3곳에 마련하여 간을 끼워 고정하도록 하였다.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는 경주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요 사찰의 당간지주와 비교하였을 때 비교적 이른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귀부형 간대석을 한 것은 유일하다.

분황사 당간지주(芬皇寺 幢竿支柱)에서 본 분황사

반응형
반응형

시림(始林)은 반월성과 대릉원 사이의 외딴 숲으로 신라 김씨(金氏) 시조인 알지(閼智)의 강림 설화가 전해오는 숲이다. 면적은 7,300로 구림(鳩林)이라고도 하고 닭 계()자를 써 계림(鷄林)이라 불렀다. 주위에는 내물왕릉을 비롯한 고분이 둘러싸고 있다.

반월성에서 본 시림(始林), 계림(鷄林)

이곳에는 왕버들, 느티나무, 팽나무 등 오랜 고목이 울창하게 우거져 있다나무 아래에는 조그만 실개천이 흐르고 있어 정겹다특히 초입에는 수령 13,00년 된 회화나무가 있어 관광객을 맞이하고 있다회화나무는 주로 궁궐, 서원, 향교 입구에 심고 있는데 악귀, 잡귀 등 물리치는 기능이 있다고 한다.

계림비각(鷄林碑閣)

또한 계림비각(鷄林碑閣)이 있어 안에는 조선 순조 3(1803)에 세운 김알지 탄생 기록비, 계림김씨시조탄강유허비명(鷄林金氏始祖誕降遺墟碑銘)가 있다높이 111.0cm, 너비 39.0cm, 두께 17.0cm로 찬자(撰者) 남공철(南公轍), 서자(書者) 최헌중(崔獻重), 각자 미상으로 내용은 김알지의 탄생에 관련된 설화와 김알지 이후의 김씨 왕가의 계보와 대표적인 치적을 기록하고 명문(銘文)을 쓰게 된 동기를 서술하고 있다.

계림김씨시조탄강유허비명(鷄林金氏始祖誕降遺墟碑銘)

동경잡기 기록에 따르면 계림에 높이가 3척 정도 되게 돌을 쌓은 것이 있는데, 속설에 알지가 태()를 풀 때에 가위를 놓아두었던 돌인데 가위 날의 흔적이 있다고 전한다.

김알지(金閼智)는 누구인가?

당나라 태종 때(630) 위징이 편찬한 수서에 신라왕족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 다음과 같다.

신라의 왕은 본래 백제 사람이었는데, 바다로 달아나 신라로 들어갔다. 그리고 마침내 그 나라를 왕으로 다스리게 되었다

여기에 나온 백제 사람은 수서를 편찬한 때가 신라 진평왕이므로 신라 김씨 왕족이야기다김알지가 계림에 온 때인 서기 60년과 65년 사이의 한반도 상황을 확인하면 백제가 마한을 정복할 시점으로 서기 618월에 마한 장수 맹소가 복암성을 신라에 바치고 귀순 했던 때이자 마한의 부흥운동 실패와 몰락한 때이다. 그때 마한의 마지막 왕족 후손인 김알지가 포함되었던 것이다.

계림(鷄林) 초입에서 맞이하는 계림비각(鷄林碑閣)

시림(始林) 즉 계림(鷄林의 위치가 맞는 곳인가?

시름(始林)의 위치와 방향, 규모에 대하여 알아보자. 시름(始林)은 외부에서 경주 로 출입할 때 처음으로 맞이하는 숲이라는 뜻이고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시름의 방향은 금성 서쪽방향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시림 관련 내용을 보면 눌지마립간 177월에 이리떼가 시림으로 들어왔다고 되어 있는데 이는 시름이 넓고 방대하다는 것이다선덕여왕 37월에 시림의 들판에서 크게 열병하였다고 되어있어 대규모의 병력을 동원하여 하는 열병장소 라면 넓은 공간의 장소이다.

삼국유사 견훤 편에는 927년 포석정에 있는 경애왕을 시해하기 위해 견훤이 후백제 군사를 출병시켰다. 신라 수도 경주근방 영천에서 경주로 침입하기 위해 시림에 도착하여 기습공격을 개시하였는데, 시림으로 나아가게 한 후 갑자기 신라왕도경주로 들어갔다고 되어 있다.

계림(鷄林)에는 왕버들, 느티나무, 팽나무 등 오랜 고목이 울창하게 우거져 있다.

영천에서 경주로 오는 길은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영천북안아화건천이고 다른 하나는 영천고경현곡이다. 전자인 경우는 건천에 부산성이 있어 기습공격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반면 후자는 구미산이 있어 산악 지형을 이용하면 은밀한 이동이 가능하여 유력한 경로이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시림은 수도 서라벌 서쪽인 서천 건너편 외곽에 있는 숲으로 현곡방면에 있는 숲이다. 시림의 어원은 조선 유민 즉 고조선 준왕 일행의 유민인 6부촌 세력 중 일부 세력 또는 김일지 세력이 경주지역에 도착했을 때 처음 맞이한 숲으로 추정된다.

삼국유사 제1권 기이 김알지(金閼智), 탈해왕대(脫解王代)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영평(永平) 3년 경신(庚申; 60, 중원中元 6년이라고도 하나 잘못이다. 중원中元은 모두 2년 뿐이다) 84일에 호공(瓠公)이 밤에 월성(月城) 서리(西里)를 걸어가는데, 크고 밝은 빛이 시림(始林; 구림鳩林이라고도 함) 속에서 비치는 것이 보였다. 자줏빛 구름이 하늘로부터 땅에 뻗쳤는데 그 구름 속에 황금(黃金)의 궤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고, 그 빛은 궤 속에서 나오고 있었다. 또 흰 닭이 나무 밑에서 울고 있었다.

이 모양을 호공(瓠公)은 왕에게 아뢰었다. 왕이 그 숲에 가서 궤를 열어보니 동남(童男)이 있는데 누웠다가 곧 일어났다. 이것은 마치 혁거세(赫居世)의 고사(故事)와도 같았으므로 그 말에 따라 그 아이를 알지(閼知)라고 이름지었다. 알지(閼知)란 곧 우리말로 소아(小兒)를 일컫는 것이다. 그 아이를 안고 대궐로 돌아오니 새와 짐승들이 서로 따르면서 기뻐하여 뛰놀고 춤을 춘다.

왕은 길일(吉日)을 가려 그를 태자(太子)로 책봉했다. 그는 뒤에 태자의 자리를 파사왕(破娑王)에게 물려 주고 왕위(王位)에 오르지 않았다. 금궤(金櫃)에서 나왔다 하여 성()을 김씨(金氏)라 했다.

알지는 열한(熱漢)을 낳고 열한은 아도(阿都)를 낳고,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부(郁部)를 낳고, 욱부는 구도(俱道; 혹은 구도仇刀)를 낳고, 구도는 미추(())를 낳으니 미추(未鄒)가 왕위에 올랐다. 이리하여 신라의 김씨(金氏)는 알지에서 시작된 것이다.

시림, 계림에서 본 반월성

삼국사기 신라본기 탈해 이사금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9년 봄 3월 왕이 밤에, 금성 서쪽 시림의 나무 사이에서 닭이 우는 소리가 나는 것을 들었다. 날이 샐 무렵에 호공을 보내 어찌된 일인지를 알아보도록 하였다. 호공이 가보니 그 곳에는 나무 가지에 금빛나는 작은 상자가 걸려 있었고, 흰 닭이 그 아래에서 울고 있었다. 호공이 돌아와 이를 보고하였다.

왕은 사람을 보내 그 상자를 가져와 열게 하였다. 그 속에는 어린 사내아이가 들어 있었고, 그 아이는 자태와 용모가 뛰어났다. 왕이 기뻐하며 측근들에게 이 아이는 어찌 하늘이 나에게 아들로 준 것이 아니겠는가!”라고 말하고, 그 아이를 거두어 길렀다. 아이는 자라면서 총명하고 지략이 뛰어났다. 그의 이름을 알지라고 하였다. 그는 금빛이 나는 상자에서 나왔기 때문에 성을 김씨라고 하였다. 시림을 고쳐 계림이라 부르고, 이를 국호로 하였다.

대릉원에서 본 시림(始林), 계림(鷄林)

반응형
반응형

백률사(栢栗寺)는 경주시 북동쪽 소금강산(小金剛山) 자락에 있는 절로 한자를 보면 잣나무 (), 밤나무 율() 이다. 백률사 이름은 삼국유사 3권 탑상 제4 백률사(栢栗寺) 편에 등장하는데 계림(鷄林) 북쪽 산을 금강령(金剛嶺)이라 하고 산의 남쪽에는 백률사(栢栗寺)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상세한 내용을 보면 계림(鷄林) 북쪽 산을 금강령(金剛嶺)이라 하고 산의 남쪽에는 백률사(栢栗寺)가 있다. 그 절에 부처의 상()이 하나 있는데 어느 때 만든 것인지 알 수가 없으나 영험이 자못 뚜렷했다. 혹은 말하기를, “이것은 중국의 신장(神匠)이 중생사(衆生寺)의 관음소상(觀音塑像)을 만들 때 함께 만든 것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백률사를 삼국유사 3권 흥법(興法) 3 원종흥법(原宗興法)과 염촉멸신(猒髑滅身) 편에 법흥왕 14(527)에 신라가 불교를 공인하는 과정에서 순교(殉敎)한 이차돈(異次頓, 또는 박염촉[朴猒髑], 이차[異次], 이처[伊處])을 기리고자 지은 자추사(刺楸寺)로 추정하고 있다.

이유는 가시()가 있는 호두()()이라는 뜻이므로 백률사와 같은 이름이다. 그리고 자()는 잣()의 음을 한자로 적은 것이며, ()는 밤의 일종으로 율()과 통하므로 뜻을 한자로 적은 것이다. 따라서 자추(刺楸)는 곧 백률(栢栗)이며 다만 같은 말을 표기할 때 빌린 한자가 달랐을 뿐이다.

이러한 표현은 우리의 문자가 없었던 신라시대 때 신라인이 사용한 향찰(鄕札)로써 한자의 음(소리)과 훈()을 빌려서 우리 국어의 문장 순서대로 적은 것이다. 주로 도솔가, 제망매가 등 신라의 노래인 향가(鄕歌)를 표현할 때 이용하였다.

삼국유사 3권 흥법(興法) 3 원종흥법(原宗興法)과 염촉멸신(猒髑滅身) 기록에 이차돈이 순교할 때 내용을 살펴보면 법흥왕 14(527) 옥리(獄吏)가 그의 목을 베자, 흰 젖이 한 길이나 솟아올랐으며 하늘은 사방이 어두워 저녁의 빛을 감추고 땅이 진동하고 비가 뚝뚝 떨어졌다. 목은 북산(北山) 서쪽 고개(곧 금강산金剛山이다. 에는, 머리가 날아가서 떨어진 곳이기 때문에 그곳에 장사지냈다고 했다.)에 장사지냈다. 나인(內人)들은 이를 슬퍼하여 좋은 땅을 가려서 절을 세우고 이름을 자추사(刺楸寺)라고 했다

백률사(栢栗寺) 범종각
범종에 이차돈 순교비에 있는 순교장면을 묘사했다.

삼국사기 법흥왕 즉위 15년 기록을 보면 김대문의 계림잡전내용을 인용하였는데 이차돈의 목을 베자, 목을 벤 곳에서 피가 솟아 나왔는데, 그 색깔이 젖빛처럼 희었다. 사람들이 이를 괴이하게 여겨 다시는 불사를 비방하거나 헐뜯지 못하였다고 적혀있다.

그의 목을 베자 ,  흰 젖이 한 길이나 솟아올랐으며 하늘은 사방이 어두워 저녁의 빛을 감추고 땅이 진동하고 비가 뚝뚝 떨어졌다
이차돈 순교비(국립경주박물관)

현재 백률사는 아담한 사찰이다. 백률사의 대웅전(大雄殿)은 약 3m 높이의 축대 위에 있으며 맞배지붕에 앞면 3, 옆면 3칸으로 공포는 다포(多包)양식이고 좌, 우 협칸에 쌍여닫이문이 있다. 임진왜란 때 피해를 입어 선조 때 다시 지었다고 전하지만, 실제로는 조선 후기의 건축 양식을 보이고 있다.

백률사 대웅전 내부

이곳 대웅전에 모셨던 금동약사여래입상(金銅藥師如來立像, 국보 28)은 높이 1.77m의 금동불(金銅佛)로 모든 중생의 질병을 고쳐준다는 약사불을 형상화한 것이다.

다소 평면적인 느낌을 주지만 신체의 적절한 비례와 조형기법이 우수하며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金銅阿彌陀如來坐像), 금동비로자나불좌상(金銅毘盧遮那佛坐像)과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졌고 이 세 불상은 통일신라시대의 3대 금동불(金銅佛)로 부른다.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은 대웅전에 있었으나 1930년에 경주박물관으로 옮겨졌고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국립경주박물관)

대웅전 앞에 커다란 바위가 있는데 바위 면에 마애삼층탑이 새겨져 있고 당시 신라시대 때 탑을 건립할 자리가 없어 바위에 새겼다고 전해오고 있다그러나 대웅전 앞에 간이 시설물을 만들어서 마애삼층탑을 보는데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동경잡기에 따르면 백률사에는 전단(栴檀)나무로 조각 된 불상이 있었고 백률사 누(樓)가 계림에서 최고였다고 한다. 또한 선유 정지상도 시가를 읊어 아름다움을 극찬하였다.

동천동 마애삼존불좌상(東川洞 魔崖三尊佛坐像)

동천동 마애삼존불좌상(東川洞 魔崖三尊佛坐像, 유형 문화재 제194)은 소금강산(金剛山) 정상 근처의 바위에 새긴 아미타삼존불좌상으로 가운데 본존불인 아미타여래상이 앉아 있고 그 양쪽에 협시보살이 있으나 얕게 된 선각으로 마멸과 손상된 부분이 많아서 정확한 모습을 알기 어렵다. 백률사에서 정상방향의 등산길로 걸어가면 10분이면 도착한다.

아미타여래상은 넓적한 얼굴에 머리카락이 없고 육계의 윤곽도 분명하지 않다. 머리둘레에 두 겹의 선으로 두광(頭光)을 표시하였다. 오른쪽은 대세지보살상으로 본존불을 향해 꿇어앉아 공양하는 자세를 하고 있는데, 보관(寶冠)에는 보병(寶甁)이 새겨져 있다. 왼쪽은 관음보살상으로 보관의 일부만 제대로 남았는데, 보관에는 화불이 새겨져 있고, 두 겹으로 새긴 둥근 모양의 두광이 확인된다.

이 아미타삼존불좌상은 조각된 옷의 표현과 손의 모습 등 보아 만든 시기는 통일 신라 시대로 추정하고 있다.

왼쪽에 있는 관음보살상으로 보관의 일부만 제대로 남았는데, 보관에는 화불이 새겨져 있고, 두 겹으로 새긴 둥근 모양의 두광이 확인된다.

소금강산(小金剛山, 177m)은 경주시 북동쪽에 있는 용강동, 동천동과 천북면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금산(金山), 금강산(金剛山) 등으로 불리었다. 삼국유사에 신라 6촌 중 하나인 금산가리촌(金山加里村)에서의 금산이 지금의 금강산으로 백률사 북쪽에 있는 산이다.”라는 기록과 “6촌 중 하나인 명활산 고야촌장인 호진(虎珍)이 처음에 금강산으로 내려왔다.”라는 기록이 나온다.

금강산은 신라 수도의 중심지에서 아주 가깝기 때문에 삼국사기이외에도 많은 기록이 전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경주)에도 소금강산이 아니라 금강산으로 기록되어있다. 세주(細註)에는 경주 중심지의 북쪽 7리에 있는데, 신라에서는 북악(北嶽)이라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신라시대 초기 서라벌 수도의 중심지에서 북쪽에 있는 돌산이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조선시대의 지리지와 지도에도 금강산이 나오는데, 소금강산이라 기록된 것을 찾을 수가 없다. 일제 강점기 이후 강원도에 있는 금강산이 알려지면서 소금강산이라 불리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반응형
반응형

경주시 건천읍 단석산(斷石山)의 산정(山頂) 부근에서 서남쪽으로 해발 약700m 지점 우징골 신선사(神仙寺)에 이르면 높이 10m자 모양으로 솟은 거대한 암벽에 있는데 예로부터 이 바위를 상인암(上人巖)이라고 불렀다. 맨 윗사람이라는 의미의 바위 면에 여러 불상들을 새겼는데 이를 신선사 마애불상군(神仙寺 磨崖佛像群)이라고 부른다. 이곳에 지붕을 덮어서 석굴 법당을 만들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바위 세면에는 10구의 불상과 보살상, 인물상이 새겨져 있어 장관을 이루고 있다.

단석산 ( 斷石山 ) 정상

신선사(神仙寺)는 대한불교 법화종에 소속된 사찰로 7세기에 활동하던 자장(慈藏)의 제자 잠주(岑珠)가 창건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건물로는 대웅전과 산령각(山靈閣), 요사채 등이 있는 작은 암자이다. 특히 대웅전 앞뜰에 만발한 산나리 꽃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데 주황색 꽃의 아름다움이 절제미가 흐른다.

석굴 바위에 얽힌 전설이 전한다. 옛날 절 아래에 살던 한 젊은이가 이곳에 올라와 보니 노인들이 바둑을 두고 있었다. 이들이 두는 바둑을 구경하고 집에 돌아와 보니 아내는 이미 백발의 노파가 되어 있었다. 50년이 지난 것이다. 그 뒤부터 이 바위를 신선이 바둑을 둔 곳으로 불렀고, 절 이름도 신선사라고 불렀다. 

신선사(神仙寺) 대웅전

단석산(斷石山, 827m)은 경주시 건천읍(乾川里) 방내리(芳內里)와 내남면(內南面) 비지리(飛只里)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경주에서 가장 높고 단석산 일대는 경주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신라시대에는 화랑들이 심신을 수련하였고 백제군이 지리산을 넘어 함양, 청도로 거쳐 경주로 들어오던 길목에 자리 잡고 있어 신라에서는 국방의 요충지였다.

대웅전 앞뜰에 만발한 산나리 꽃

신증동국여지승람(경주)에 단석산이 처음으로 나오는데, 월생산(月生山)이라고도 하며, 경주중심지의 서쪽 23리에 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신라의 김유신이 고구려와 백제를 치려고 신검(神劍)을 얻어 월생산의 석굴 속에숨어 들어가 검술을 수련하려고 칼로 큰돌들을 베어서 산더미 같이 쌓였는데, 그 돌이 아직도 남아 있다. 그 아래에 절을 짓고 이름을 단석사(斷石寺)라고 하였다.”는 일화도 수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진평왕 건복 28년 신미년(611)에 공의 나이 17세에 고구려·백제· 말갈이 국경을 침범하는 것을 보고 분개하여 쳐들어온 적을 평정하겠다는 뜻을 가지고 홀로 중악(中嶽)의 석굴로 들어가 몸을 깨끗이 하고는 하늘에 고하여 맹세하였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때 중악을 월생산 또는 단석산으로 보고 있다.

신선사(神仙寺)에서 마애불상군(磨崖佛像群)으로 가는 길

신선사 마애불상군(神仙寺 磨崖佛像群)으로 가는 입구는 서쪽으로 트인 곳으로 들어서면 왼쪽에는 북쪽 바위(북암), 정면은 동쪽 바위(동암), 그리고 오른쪽은 남쪽 바위(남암)로 구성되어 있고 각 바위 벽면에는 10구의 불상과 보살상, 인물상이 새겨져 있다.

신선사 마애불상군(神仙寺 磨崖佛像群)으로 가는 입구
서쪽으로 트인 곳으로 들어서면 왼쪽에는 북쪽 바위(북암), 정면은 동쪽 바위(동암), 그리고 오른쪽은 남쪽 바위(남암)로 구성되어 있다.

북쪽 바위(북암) 오른쪽 면에는 불상, 보살상, 인물상 등 7구가 얕게 새겨져 있다. , 아래 2줄로 배치되어 있는데 위쪽은 왼쪽에서부터 여래입상 3, 반가사유상 1구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데 반가사유상을 제외한 나머지 불상들은 모두 왼손이 동쪽을 향하여 가리키고 있는데 이는 중생을 본존불인 미륵불입상에게 안내하는 모습으로 해석된다.

북쪽 바위(북암) 오른쪽 면에 있는 여래입상 3구와 반가사유상 1구

아래에는 바지저고리 차림으로 향로가 같은 지물을 들고 공양을 올리는 모습의 공양상 2구가 새겨져 있는데 버선 모양의 모자를 쓰고 허리춤 아래로 늘어진 바지는 폭이 매우 넓고 발목은 동여맨 차림새이다. 신발은 끝이 선 버선코 모양이다. 그리고 맨 아래에는 스님 한분이 얕은 부조로 새겨져 있는데 이를 통해 신라인의 모습을 추정하고 복식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바지저고리 차림으로 향로가 같은 지물을 들고 공양을 올리는 모습의 공양상 2구
공양상은 버선 모양의 모자를 쓰고 허리춤 아래로 늘어진 바지는 폭이 매우 넓고 발목은 동여맨 차림새로 신발은 끝이 선 버선코 모양이다.
얕은 부조로 새겨져 있는 스님

북쪽 바위(북암) 왼쪽 독립된 면에는 도드라지게 새긴 높이 8.2m의 미륵불입상이 1구 서 있다. 둥근 얼굴에 미간이 비교적 넓고, 눈을 가늘게 뜨고 있으면서도 눈꼬리를 부드럽게 하여 환한 미소가 가득하다. 머리 위로 2단으로 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인 원형 육계가 솟아있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에는 U자형 주름이 선명하고, 트인 가슴 사이로는 띠 매듭이 보인다. 오른손은 어깨 높이로 들어 손바닥을 보이고 왼손은 내려 손끝이 아래로 향하여 손바닥이 보이게 하고 있다.

북쪽 바위(북암) 왼쪽 독립된 면에 있는 높이 8.2m의 미륵불입상
미륵불의 둥근 얼굴은 미간이 비교적 넓고, 눈을 가늘게 뜨고 있으면서도 눈꼬리를 부드럽게 하여 환한 미소가 가득하다.

동쪽 바위(동암)에는 높이 6m의 보살상이 새겨져 있는데, 상반신에는 옷을 걸치지 않았으며, 왼손은 들어서 가슴에 대었고 오른손은 몸 앞에서 보병(寶甁)을 쥐고 있다.

동쪽 바위(동암)에 있는 높이 6m의 보살상
미륵불입상과 보살입상

남쪽 바위(남암)에는 마멸이 심해서 분명하지는 않지만 광배(光背)가 없는 보살상 1구를 새겨져 있어 앞의 두 불상과 함께 삼존상(三尊像)을 이루고 있다이 보살상의 동쪽 면에는 불상을 만든 경위를 새긴 글이 있는데 약 20행에 200여 자이며, 마멸이 심하여 대부분의 글자를 판독할 수 없다.

1969년 한국일보사가 주관한 신라오악(新羅五岳) 조사단이 바위에 새겨진 명문을 분석하여 석굴의 본래 이름이 신선사였음을 밝혀냈다.

남쪽 바위(남암)에 있는 보살입상
마멸이 심해서 분명하지는 않지만 광배(光背)가 없는 보살상

글의 전체 내용은 알기 힘들지만, 판독되는 부분에 보살계제자 잠주(菩薩戒弟子 岑珠), 신선사(神仙寺), 잠훼(岑喙) 등의 표현이 있는데 이 중 신선사(神仙寺)에 미륵석상 1구와 삼장보살 2구를 조각하였다라는 내용이 있어 절의 이름이 신선사이고, 이곳에 미륵상 1구와 보살상 2구를 조성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보살입상 동쪽 면에는 불상을 만든 경위를 새긴 글이 있는데 약 20행에 200여 자이며, 마멸이 심하여 대부분의 글자를 판독할 수 없다.

이 불상군은 7세기 전반기의 불상 양식과 우리나라 석굴 사원의 초기 형태를 보여 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또 당시 불교신앙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