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산을 가지고 있는 광역시가 부산광역시이며 이것은 부산의 큰 복이다. 이들 중 장산은 해발 634m로 세 번째로 높은 산이며 부산시민이 사시사철 찾는 곳이다. 더불어 대천공원이 조성되어 산행은 물론이며 운동, 각종 행사가 열리는 곳이다.

해발에 비해 수량이 풍부하여 춘천의 흐르는 물은 가뭄에도 마르는 날이 없어 여름철이면 아이들의 물놀이 터가 된다. 이에 옛 부터 장산 앞 지역은 비옥한 농경지를 이루었고 청사포 앞바다의 풍부한 해산물과 함께 풍요로운 땅이었다.

장산 450m 자락에는 20가구 100여명 주민이 녹차재배 등 농업과 등산객 상대로 하는 식당을 주업으로 살고 있는 장산마을이 있다이 마을은 19636.25전쟁 상이용사 10여명이 원호청으로부터 정착 대부금을 받아 설립한 장산개척단에서 시작된 마을이다.

당시 산정을 개간하여 무, 배추 등 고랭지 채소를 재배하며 살았으나 생활여건이 열악하여 개척단원들은 마을을 떠났다. 그 후 퇴역 장병 40여 세대 120여명이 부산시로부터 토지를 불하받아 무 재배를 하며 정착하였다.

그리고 미국 복지재단에서 기증한 홀스타인 젖소 덕분으로 낙농업을 통해 장산목장으로 마을이 번창하였으나 1985~ 1987년 우유파동과 해운대 신시가지 조성에 따른 젖소 사육 금지, 자녀교육 등으로 일부가 마을을 떠나 현재의 모습을 이루고 있다.

장산을 좀 더 들여다보면 부산국가지질공원, 생태공원이 조성되어 있고 청산리 대첩의 숨은 영웅 애국지사 강근호의 숨결이 모정원에 남아있다. 또한 민속 및 토속신앙이 전해지고 있는 천제단, 마고당 등 있어 장산을 찾는 이에게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동국여지승람(1418)과 동래부지(1740)에 의하면 부산의 전신인 동래의 옛날은 장산국(萇山國)이었으며 신라가 이를 취해 거칠산군(巨漆山郡)을 두었다고 전하고 있다. 또한 장산을 동래부지도에는 상산(上山)이라는 이름으로 장산이라고도 하고 봉래산이라고도 하였다.

규장각 소장의 동래부지도에는 장산의 위치에다 장산국기라 적혀있고 해동지도에는 상산에다 장산국기라 적혀 있다. 동래부읍지 역시 장산이라고 표기하고 기장의 운봉산에서 뻗어 내렸다고 했다.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동래현의하면 옛날에는 장산국(萇山國) 혹은 내산국(萊山國)이라고도 하였다. 신라가 점유하고 나서 거칠산군(巨漆山郡)두었는데, 경덕왕이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고려 현종이 울주(蔚州)속시켰고 현의 동쪽 15리에 상산(上山)이 있으며, 대마도를 바라보기에 가장 가깝다고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산을 중심해서 장산국, 또는 내산국이라는 부족국가가 형성돼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날씨가 맑으면 저 멀리 대마도가 보이는데 실제 거리는 50km이다.

삼한시대의 부산에는 변한(변한)12국 중 하나인 독로국(凟盧國)이 있었다고 한다. 중국 삼국지 위서 한전에는 독로국이 바다를 사이에 두고 왜와 접해 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독로국이 현재로서는 동래지역에 있었다는 주장이 우세하다.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가 동래지역의 거칠산국을 멸망시키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독로국과 거칠산국이 같은 것인지의 여부는 현재로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최근 장산 정상 개인이 운영하는 농장에서 우물터를 발견했는데 지역 향토사학계에서는 옛날 장산국 우물터가 아닌지 비상한 관심을 가지고 있어 그 결과가 주목된다.

장산국의 오능은 사라지고

장산국은 신라와 가야의 경계지역에 위치하였는데, 이 장산국에 5개의 왕릉 이 존재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신라와 가야의 침략을 피하기 위하여 궁궐과 왕릉은 장산 안에 있었으며, 6·25전쟁 당시 미군이 탄약 창고를 설치하기 전 좌동 일대 어느 작은 절(약수암) 옆에 5개의 큰 무덤이 바로 그것이라 전해진다.

기원 후 5~6세기경에 신라(석탈해왕) 세력이 이곳에 진출하면서 장산국이 멸망하자, 장산국 사람들은 일본으로 건너가게 되고 산의 오능은 초라한 무덤으로 변해 점차 잊히게 되었다. 이곳에서 태어나고 자란 좌동 토박이 노인들의 이야기에 의하면 어릴 적 그 무덤을 보았는데 탄약 창고 공사를 하면서 없어졌다고 한다.

반응형
반응형

함안군청 뒤 해발 60m의 작은 봉우리 남북 주 능선 및 서쪽 가지능선 2km에는 대형고분 37기를 비롯하여 113기의 고분이 능선 위를 수놓고 있다. 이름 하여 말이산 고분군(末伊山 古墳群)으로 가야시대 고분유적으로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고분과 더불어 능선 위는 봄, 여름 가을 다양한 야생화와 들풀이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한다. 또한 고분의 겨울 설경은 제주도 오름의 아기 모습처럼 보여 사시사철 각각의 풍광을 선사한다.

말이산 고분군(末伊山 古墳群)은 함안군 가야읍 말이산 일대에 있는 고분군이다. 행정구역 기준으로 도항리 고분군(사적 제84)과 말산리 고분군(사적 제85)으로 관리하여 오다가 발굴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동일한 시대와 성격의 무덤들이 조성되어 있다 하여 2011728일 사적 제515호로 하나의 고분군으로써 통합재 지정되었고 가야시대 고분유적으로서는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봉토분으로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113기이고 봉토가 삭평되어 원형을 잃어버린 것까지 포함하면 1,000기 이상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말이산의 봉토분은 아라가야의 전성기인 5세기 후반~6세기 초에 집중 조영되었으며, 그 분포는 남-북으로 이어진 주능선과 서쪽으로 완만하게 이어지는 가지능선의 정부(頂部)에 대형의 봉토분이, 사면부에 중소형의 고분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말이산의 북쪽 일대에는 아라가야의 전신인 삼한시대 안야국(安邪國)의 목관묘와 목곽묘가 밀집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말이산고분군은 기원 전후부터 아라가야 멸망 때까지 약 550년간의 고분들이 누대로 조영되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출토유물은 토기 2,010, 철기 2,479, 장신구 3,381, 기타 91점 등 총 7,961점의 다종다양한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토기는 주로 통모양굽다리접시와 불꽃무늬굽다리접시, 손잡이잔, 문양뚜껑, 각종 항아리와 그릇받침 등으로 4~5세기대 아라가야 양식의 특유의 토기들이다. 철기는 철의 왕국이라 일컬어지는 아라가야답게 수준 높은 철기들이 출토되는데, 둥근고리큰칼을 비롯한 쇠창, 화살촉 등의 무기와 투구와 판갑옷, 비늘갑옷 등의 무구, 말투구와 말갑옷을 비롯한 재갈, 안장 등의 말갖춤, 새모양장식을 붙여 만든 미늘쇠 등이다. 이러한 철기유물을 통해 고대 아라가야의 철() 생산력이 매우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고분군 75호분인 대형돌덧널무덤 에서는 5세기 중국 남조의 최고급청자인 연꽃문양 청자가 출토되어 남조와 교류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라가야(阿羅伽倻)의 성장, 발전과 멸망

가야는 서기 300년 무렵 변한을 기반으로 하여 성립된 여러 집단세력으로 가야(加耶), 가라(加羅·加良), 가락(駕洛), 임나(任那) 등으로 기록되어 왔다삼국유사(三國遺事)의 가락국기(駕洛國記)에는 가야사가 전개 되었던 무대를 해인사의 가야산에서 남해까지, 낙동강 서쪽 지리산(섬진강)까지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고고학적으로는 낙동강 동쪽의 동래·양산·창녕 및 섬진강 서쪽의 진안·장수·임실·남원 등지에서도 가야문화의 흔적들이 확인되고 있다.

기원전 1세기 무렵 낙동강 유역에서 발전하기 시작한 가야는 기원후 2세기 무렵에는 12개의 소국으로 발전하였다. 고려 말에 편찬된삼국유사5가야조(五加耶條)에서는 아라가야(阿羅加耶), 고령가야(古寧加耶), 대가야(大加耶), 성산가야(星山加耶), 소가야(小加耶), 금관가야(金官加耶), 비화가야(非火加耶) 등 일곱 가야의 이름을 확인해 볼 수 있다.

3~4세기에는 김해 가락국 중심의 전기 가야연맹이 번성하였으며, 5~6세기에는 함안의 아라가야를 거쳐 고령 대가야국 중심의 후기 가야연맹으로 이어졌다. 이와 같은 전기 가야의 몰락과 후기 가야의 등장은 400년에 이루어진 고구려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391~413)의 남정(南征)과 그에 따른 정세변동이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아라가야는삼국지(三國志)』「위지동이전(魏志東夷傳)에 전하는 변진 안야국(弁辰 安邪國)을 기반으로 함안지역에서 성장, 발전한 나라이다. 광개토왕릉비문일본서기에 안라(安羅), 삼국유사에 아라(阿羅) 혹은 아야가야(阿耶伽倻)로도 불렸으며, 가야 전기부터 멸망할 때까지 계속해서 남아 있었던 세력이다. 교통의 요지인 함안지역은 가야의 모든 지역들과 쉽게 연결될 수 있는 곳으로, 통치자들의 거대한 무덤을 따로 만들고, 서기 400년 고구려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이 남쪽으로 내려와 전쟁을 할 때 이에 대항하여 싸울 만큼의 힘을 갖추고 있었던 큰 세력이었다.

안야국은 삼한소국들 중에서도 김해의 구야국 등과 더불어 주변 소국들을 이끄는 주도국 중 하나였다. 안야국은 그 형성시기 또한 다른 지역의 소국들보다 빨라 기원전 3세기 무렵에는 조그마한 나라의 형태를 갖추었던 것으로 보인다. 안야국(安邪國)에서 안라국(安羅國)으로 발전한 것은 대략 4세기로 추정되고 있다. 안야국은 내부 성장을 거쳐 주변의 소국들을 연합 또는 연맹체로 결합하면서 지역연맹체 단계로 성장해 간다. 안라 지역연맹체의 경우 함안(현 가야면)과 군북(현 군북면)의 정치세력이 연합한 세력으로 인구는 당시 삼한 대국의 수준인 4~5천가로 추정된다.

안라국이 가야제국 중 비교적 강력한 국으로 성장하게 된 것은 포상팔국(浦上八國 : 골포국(骨浦國), 칠포국(柒浦國), 보라국(保羅國), 고자국(古自國), 사물국(史勿國) 8개의 소국)의 일원이었던 칠원의 칠포국(함안군 칠원면) 등을 병합하고, 진동만(현재 창원 마산합포구 진동면에 있는 만)을 통한 해안으로의 진출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이 무렵 국호도 안야국에서 안라국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칠원지역의 장악과 진동만으로의 진출은 안라가 바다를 통해 해외로 나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지역연맹체의 단계에서 고대국가의 성격을 띤 단계 즉 지역 국가로 성장·발전하게 된다.

일명 포상팔국(浦上八國) 전쟁이라 하는 것은 남해안 일대에 있었던 8개의 소국이 가야를 침략하여 일어났던 전쟁으로 포상팔국은 삼국사기2 신라본기의 내해니사금 14년조와 같은 책 권48의 물계자전, 삼국유사5 물계자조에 등장한다. 8국이라 하여 여덟 나라이겠지만 사료 상 보이는 나라는 골포국(骨浦國, 창원시 마산합포·회원구), 칠포국(柒浦國, 함안군 칠원면), 보라국(保羅國, 전남 나주), 고자국(古自國, 고성군 고성읍), 사물국(史勿國, 사천시 사천읍) 등 다섯 나라이다. 이들이 힘을 합하여 가라(加羅) 또는 아라(阿羅)를 침범하니 신라가 도와 팔국의 병사들을 물리친 내용이다. 포상팔국의 분포 범위는 전라남도 해안까지 되고 나머지 3국의 위치는 알 수 없다.

남제서(南齊書)의 동남이열전 (東南夷列傳)에 가라국왕 하지가 남제(南齊, 479~502)에 사신을 파견해 조공하고 보국장군 (輔國將軍) 본국왕(本國王)의 작위를 받았다는 기록이 있어 대가야를 지칭한 것으로 알려진 있던 가라왕 하지(加羅王 荷知)를 아라가야 왕으로 해석할 수 도 있다.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의하면 안라국은 520~540년대에 걸쳐 가야 남부제국의 실질적인 리더로 활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서기 529년에 개최된 것으로 기록된 안라고당회의(安羅高堂會議)는 왜, 안라, 백제, 신라가 함께 참석했던 회의로 가야지역을 잠식해오는 백제와 신라를 외교력으로 물리치고자 했던 노력의 일환이었다. 541년과 544년 백제성왕(聖王)이 개최한 사비 회의에 참가도 하였다. 아라가야를 비롯한 가야 제국은 백제에 부용해서 신라를 견제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554년 관산성 전투가 백제와 신라 사이에서 벌어졌고, 가야 제국은 백제와 연합하였다. 하지만 이 전쟁에서 성왕이 전사하고 전쟁에 패배함으로써 백제는 가야 지역을 포기하였고, 신라는 가야 지역으로 본격 진출하였다.

삼국사기지리지함안군은 법흥왕이 대군(大軍)으로써 아시량국(阿尸良國)-일설에는 아나가야(阿那加耶)라고 한다-을 멸망시키고 그 땅을 군으로 삼았다.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는데, 지금 이를 그대로 쓰고 있다.”라고 하고 있어 신라 법흥왕대에 멸망되었던 것으로 보기도 한다.

한편으로는 일본서기』 「흠명기(欽明紀)23(562)정월에 신라가 가야 제국을 쳐서 멸망시켰다.[어떤 책에는 21년에 임나가 멸망하였다 한다. 총칭하여 임나이고 개별적으로는 가라국(加羅國), 안라국(安羅國), 사이기국(斯二岐國), 다라국(多羅國), 졸마국(卒麻國), 고차국(古嵯國), 자타국(子他國), 산반하국(散半下國), 걸손국(乞飡國), 임례국(稔禮國) 등 모두 10국이다.]”라고 한 것으로 보아 당시 왜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아라가야는 대가야가 멸망하기 전 560년에 멸망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신라가 561년에 아라가야의 파사산에 성을 쌓았다는 등의 기록으로 보아 이 시기를 신라가 안라지역으로의 진출시기로 볼 수 있다.

일본속의 아라가야(阿羅伽耶) 사람과 문화.

일본서기』 「흠명기(欽明紀)15(554) 12월 기사에는 백제성왕과 안라[아라가야]의 여러 왜신, 임나의 여러 나라 한기들이 신라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하여 왜왕에게 군사를 요청하고 이에 왜가 군사를 파병해 신라에 대항해 연합군이 전쟁하는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가야와 왜가 특히 아라가야를 중심으로 한 가야 제국이 왜와 가야 멸망 시기까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대 일본의 지명 전승에 아라가야 사람들이 일본 열도로 이주했던 흔적이 남아 있다. 특히 기비 지방 등에는 아라가야와 관련된 많은 지명이 보이는데, ‘안나군이나 아나군등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교토 동쪽의 거대 호수 비파호(琵琶湖)[673.9] 남단 시가[滋賀] 현에도 아라가야 사람들이 이주해 신앙생활을 하던 아라 신사[安羅神社]가 남아 있다. 구사츠[草津] 역 인근 5이내에는 아라 신사라는 이름을 가진 신사가 무려 3개나 있다. 신사의 대문 격인 도리이[鳥居]에는 안라 신사(安羅神社)’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고, 신관(神官)은 분명히 아라진자라고 되어 있어 아라가야와의 관계를 알 수 있다. 심지어 이곳 신사의 유래를 알려 주는 안내판에도 함안과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 신사들이 위치한 현재 마을 이름도 아나무라[穴村]’라 하여 아나라는 아라가야를 칭하는 말이 포함된 것으로 보아 이 지역에 많은 아라가야계 사람들이 살았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일본과 아라가야와의 관계를 알 수 있는 물질적 증거가 토기이다. 그중에서도 아라가야의 대표적 토기 양식인 굽다리에 불꽃무늬 구멍이 뚫려 있는 불꽃무늬 굽다리 접시(화염문 토기)’이다. 나라 현가시하라 시청 소속 발굴단이 신도우 유적에서 파손된 상태로 발견한 토기 조각을 복원하자 아라가야의 대표적 토기인 불꽃무늬 굽다리 접시로 드러났다. 이것은 현재 함안 지역을 중심으로 출토되고 있는 불꽃무늬 굽다리 접시와 전체적인 모양, 색깔, 재질 등이 똑같다. 이로 보아 아라가야에서 제작된 토기가 이곳 나라 현까지 전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당시 나라 현과 아라가야의 교류를 엿볼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