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여행을 하다보면 가끔 읍성을 만나는데 보통 바다와 가까운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주로 복원된 읍성을 마주보게 된다. 읍성은 해적, 즉 왜구로부터 고을을 방어 목적으로 축성한 것으로 행정기능과 군사기능을 겸하고 있다. 고려말에 처음 읍성을 축성했고 읍성 내부에는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가 거주하고 읍성 밖에는 지역주민이 거주했다. 읍성은 일제강점기 때부터 조선총독부의 계획에 따라 해체되어 사라지기 시작했다. 훼손되고 철거 된 자리에는 식민지 지배를 위한 시설부지로 활용되었고 군 및 읍사무소, 경찰서, 등기소 등이 건립됐다. 그리고 해방 후 도시화와 도로개설, 무관심 등으로 사라졌다. 현재 경주읍성, 언양읍성, 장기읍성, 낙안읍성, 고창읍성, 해미읍성, 홍주읍성 등이 남아 있다.
평산성(平山城)인 기장읍성의 위치는 토성(土城)인 기장읍 교리 일대와 석성(石城)인 동부리, 서부리, 대라리 일대이다. 현재 읍성의 형태를 볼 수 있는 곳이 동부리 기장초등학교 주변과 서부리 일대이다. 기장초등학교 주변은 공덕비군(功德碑群)과 더불어 나름 옛 멋이 남아 있고 서부리 일대는 복원되어 정비된 모습이다. 특히 기장읍성은 임진왜란 때 왜군이 죽성리 왜성을 축성하면서 필요한 돌을 기장읍성을 사용하면서 훼손되기 시작했다.
동부리 일대에는 동헌과 우물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기장초등학교를 지으면서 허물어 사라졌다. 교리 일대의 읍성(古邑城)은 고려 우왕(禑王:1374∼1388년)때 왜구의 침입으로 함락되어 관아가 모두 불에 전소되었다. 이후 다시 축조된 것이 동부리, 서부리, 대라리 일대의 읍성이다.

석성(石城)인 동부리 주변에는 동헌과 우물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기장초등학교를 지으면서 허물어 사라졌다.
기장초등학교 주변은 읍성과 더불어 공덕비군(功德碑群)이 있어 나름 옛 멋이 남아 있다.
기장군에 산재해 있는 공덕비 36기를 1972년에 이곳으로 옮겼다.
이 곳에는 관찰사비 7기, 수군절도사비 1기, 어사비 1기, 현감비 14기, 군수비 5기, 아전비 2기, 객사건성비 1기, 교량건성비 1기, 교량개축 등 2기, 기타 3기 등 있다.
기장 죽성리 두호마을에서 발생한 조운선 양곡 절도의 원만한 해결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기리기 위해 마을사람들이 이도재 생사단비가 여기에 있다. 생사단이란 고향 출신의 수령이 부임한 경우, 이의 탄생지임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것을 가리킨다.
비의 재질은 석재이고 비석 머리는 둥글고 받침돌은 없다. 비의 앞면에는 비의 제목 '수사 이공도재 생사단(繡史李公道宰生祀壇)' 이라 되어 있고, 내용은 '우리 고을에 왜 이리도 늦게 오셨나/ 그래도 하늘은 기필코 도우시네/ 수많은 폐단들을 모두 바로잡으시니/ 천추에 영원토록 기리오리다[來何暮兮 天必佑之 百弊咸正 千秌永祀]'라고 적혀 있다. 뒷면에는 '광서 계미년[1883] 봄에 세우다[光緖癸未春立]'라고 적혀 있고 건립자에 관한 기록은 없다. 비의 크기는 높이 92.5㎝, 너비 36㎝, 두께 13㎝이다.
비의 재질이 화강암이 아닌 철로 된 공덕비.
귀부를 가진 공덕비

일반적으로 읍성의 내부에는 객사(客舍)와 동헌(東軒), 외부에는 사직단(社稷壇), 문묘(文廟)와 같은 제사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읍성은 군사기능을 겸하고 있는데 평시에는 주민들은 성 밖에 거주하다가 유사시에 성 내로 들어와 방어를 한다.
왕 또는 국가를 상징하는 객사는 조선시대 관아건물로서 임금을 상징하는 闕牌(임금을 상징 하는 궐자를 새긴 위패)와 대궐을 상징하는 전패(殿牌)를 보관하고, 고을 수령이 초하루와 보름에 대궐을 향해 망배를 드린 곳이며, 행정업무와 사신의 숙소로도 이용하였다. 객사구조는 일반적으로 궐패를 모시는 정청(正廳) 또는 주사(主舍)와 좌우 한 단계 낮은 건물인 동〮 서 익랑, 또는 익사(翼舍)로 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때는 학교건물과 관청 건물로 사용되었다.
수령의 근무처인 동헌은 간혹 객사 정청과 같이 쓰이나 객사와 나란히 배치 되어있다. 주로 장방형의 평면에 마루방과 온돌방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이 많다. 수령의 숙소이자 안채인 내아(內衙), 내사(內舍), 서헌(西軒)이 있다. 부속 건물로 지방출신 인물들의 자문기관인 향사당(鄕士堂), 향청(鄕廳), 군사업무를 보는 군관청, 도둑을 잡는 등 치안을 보는 토포청, 아전, 6방이 집무하는 작청, 등 있다.
읍성의 위치는 군사 방어목적과 백성생활을 위해 배산임수(背山臨水)형의 지형에 각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로가 발달한 곳에 자리 잡았다. 따라서 구릉지와 평탄지를 일부씩 포함하여 축조 된 평산성(平山城)이다.

서부리 일대 기장읍성은 복원되어 정비된 모습이다. 특히 기장읍성은 임진왜란 때 왜군이 죽성리 왜성을 축성하면서 필요한 돌을 기장읍성을 사용하면서 훼손되기 시작했다.

성벽은 고려시대에는 흙으로 쌓은 토성이나 조선시대에는 주로 돌로 쌓은 석성이고 성을 쌓을 때 내부는 비탈이나 경사로 처리하고 외부 성벽만 쌓는 편축성(片築城)과 평지에서 내외·부 모두 쌓는 협축성(挾築城)이 있다. 특히 돌을 쌓아 올릴 때 밑쪽은 밑돌보다 윗돌을 약간 들여쌓는 퇴물림 쌓기와 반대인 내쌓기가 있다.
성벽 방어를 위해 성벽위에 낮은 담장을 올린 여장(女墻)도 갖추기도 하고 성벽 일부를 돌출시켜 직사각형 또는 반원형의 구조물 치(稚), 치의 일종으로 성벽 모서리 부분에 설치한 각루(角樓), 성벽의 주변에 인공적으로 땅을 파서 고랑을 낸 해자(垓字) 등 있다.
성문은 성벽에 개구부를 내 출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홍예문이 많다. 문비, 즉 문짝은 목재판문으로 제작하여 바깥쪽에는 철엽을 씌어 화공 등에 대비하였고 홍예문 위에는 목조로 누각으로 설치 한 문루를 지어 장수의 지휘소 기능과 적을 감시하는 기능을 겸하였다. 또한 성문 보호를 위해 성문을 밖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외부에 설치한 이중 성벽인 옹성과 성문에 좌우에 설치한 치(稚)인 적대가 있다.

기장읍성 주변 골목길에서 본 돌담

『문종실록(문종실록)』에 “기장현 읍성은 주위가 1,527척(척), 높이가 11척이고, 여장(녀장)의 높이는 2척이며, 적대가 6개소, 문 3개소인데 옹성이 있고, 여장이 383개이며, 성안에 우물이 1개소인데 판 깊이가 20척이고 물의 깊이는 1척이며, 성밖의 방천(방천)에서 성을 뚫고 물을 끌어들여 못을 만들어 저수하였는데 깊이는 1척이며, 해자(해자)는 아직 파지 않았습니다.”라는 기록이 보인다. 이 기록을 통하여 읍성의 규모는 그렇게 크지 않으나 적대가 6개이고, 옹성이 돌려진 성문이 3개소이며, 여장이 383개였음을 알 수 있다.
『세종실록(世宗實錄)』「지리지(地理志)」에는 읍성을 돌로 쌓았는데 둘레가 350보(步)이며 성내에 못과 우물이 각각 하나씩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각종 읍지(邑誌)에는 읍성이 석축으로 둘레가 3,197척이고 성 높이가 12척으로 기록되어 있다.

교리 일대의 읍성(古邑城)은 고려 우왕(禑王:1374~1388년)때 왜구의 침입으로 함락되어 관아가 모두 불에 전소되었다. 이후 다시 축조된 것이 동부리, 서부리, 대라리 일대의 읍성이다.
교리근린공원 내 기장읍성은 부경문물연구원에서 2012년 지표 및 표본조사와 2014년 정밀조사를 한 결과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 건물지를 확인하였고 청자류 등 유물이 출토되었다.

기장의 옛 이름은 갑화량곡(甲火良谷)이고 별호(別號)는 차성(車城)이다. 갑화량곡은 "큰 마을" 이라는 의미로 옛 지명에 갑(甲)은 “크다”의 뜻이고, 화(火)는 "불" "벌"로서 곧 마을이나 성을 뜻한다. 기장이라는 지명은 두 가지로 보고 있는데, 첫째는 옥녀직금설로 기장은 옥황상제의 옥녀가 이곳에 내려 와서 베틀(織機)을 차려서(張) 비단을 짜고 (織錦) 물레질(紡車)을 한 곳(城)이기 때문에 베틀 기(機)와 베풀 장(張)으로서 기장(機張)이라 하였고, 둘째로 대읍성설(大邑城說)은 “갑화량곡”과 같이 큰 마을이라는 의미다.
삼국시대 기장지역은 지증왕 6년(505) 거칠산국(居漆山國)의 갑화량곡(甲火良谷)에서 동래군의 갑화량곡현(甲火良谷縣)으로 개편되었고, 신문왕 때(685)에 9주 5소경의 군현제 개편시 삽양주에 편입되었다. 그리고『삼국사기』에 의하면, “기장은 원래 갑화랑곡현(甲火良谷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16년(757) 12월 양주(良州)관내 동래군 기장현으로 고쳤다”고 한다.


속오군을 지휘, 통솔한 기장 장관청(機張 將官廳)
기장 장관청은 조선 후기 동남해변을 지키던 기장 지역의 속오군을 지휘·통솔하기 위해서 파견된 군·장관들이 사용하던 집무소이다. 당초 정면 6칸, 측면 2칸 규모에 지붕은 팔작지붕이었으나 건립된 후 몇 차례의 개·보수를 거쳐 오다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변형이 이루어졌고, 특히 개인 주택으로 사용되면서 외관은 정면 8칸, 측면 2칸으로 크게 변형되었으며, 기와는 누수를 막기 위해 시멘트를 덮어서 지붕 윤곽만 겨우 드러난 상태였다.

건물 내부에 대한 조사 결과 대들보, 서까래, 도리, 기둥 등 주요한 구조부재 등이 원형대로 남아 있어 2013년~2014년에 걸쳐 전면 해체 보수를 실시하였고, 해체 보수 과정에서 발견된 상량문을 통해 1835년(헌종 5)에 건립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장 장관청은 동래부의 장관청(부산광역시지정 유형문화재 제8호)과 함께 전국적으로도 남아 있는 사례가 드문 관아 건물이다. 조선 중기 이래의 간소한 굴도리식 건물로써 건축사적으로 크게 주목될 뿐 아니라 문화재적 가치도 뛰어나며, 조선 후기 부산 및 기장 지역 관아 건축의 양상을 보여주는 몇 안 되는 건축 유구(遺構)로 우리나라 동남해안의 전략 요충지였던 기장군의 역사성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소중한 건축 문화재이다.

2008년 12월 16일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7호로 지정·보존되어 오다가 건물의 중요성 및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5년 3월 18일 부산광역시지정 유형문화재 제153호로 승격되었다.

장관청에서 본 서부리일대 기장읍성
기장읍성 맞은편에 위치하고 있는 부산시 지정 근대건조물로써 지붕의 기와형태가 일본식 구조이다
기장역 주변 한국철도공사가 소유하는 건물로써 과거 관사로 사용하였다.

 

반응형